스포츠모아

'탁구 어벤져스' 뭉쳤다! 현정화·유남규, 협회 수장으로 등판

 한국 탁구의 살아있는 전설, 현정화 한국마사회 감독과 유남규 한국거래소 감독이 다시 한번 손을 맞잡는다. 이번엔 라켓이 아닌, 한국 탁구의 미래를 위한 열정을 들고서다.

 

13일 대한탁구협회는 현정화 감독을 수석부회장, 유남규 감독을 실무부회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14일 열리는 협회 대의원총회 인준을 거쳐 공식 선임될 예정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그 뜨거웠던 순간을 기억하는가? 현정화는 양영자와 함께 여자 복식 금메달을 따내며 '탁구 여왕'으로 등극했고, 유남규는 남자 단식 금메달을 거머쥐며 '탁구 영웅'으로 우뚝 섰다. 두 사람은 한국 탁구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남기며 국민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선사했다.

 

은퇴 후에도 탁구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이어온 두 사람은 지도자로서, 그리고 대한탁구협회 부회장으로서 한국 탁구 발전에 힘써왔다. 특히 유승민 현 대한체육회장이 탁구협회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나란히 부회장직을 수행하며 협회 운영 경험을 쌓았다.

 


이번 두 사람의 탁구협회 집행부 합류는 최근 새롭게 취임한 이태성 회장의 강력한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한국 탁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과 리더십을 갖춘 인물들이 필요하다고 판단, 두 레전드에게 러브콜을 보냈고, 이들은 흔쾌히 수락하며 다시 한번 한국 탁구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현 수석부회장 내정자는 탁구협회의 대외적인 활동과 홍보 업무를 총괄하며 탁구 저변 확대 및 이미지 제고에 힘쓸 예정이다. 유 실무부회장 내정자는 기존 전무이사 역할을 수행하며 협회 살림을 책임지는 동시에,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선수 육성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탁구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두 레전드가 이제는 리더로서 다시 한번 의기투합했다. 이들의 열정과 경험이 한국 탁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다시 한번 세계 정상을 향해 나아가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493일, 두 번의 수술, 그리고 눈물의 포효…조규성의 '인간승리', 이제 남은 건 국대 복귀뿐

 무려 493일, 16개월이 넘는 기나긴 침묵을 깨고 '꽃미남 스트라이커' 조규성의 발끝이 드디어 폭발했다. 덴마크컵 3라운드 올보르와의 경기, 팀이 1-0으로 앞서던 후반 13분 교체 투입된 그는 그라운드를 밟는 감각부터 되새기는 듯 보였다. 그리고 후반 34분, 동료가 오른쪽에서 낮게 깔아준 크로스를 특유의 동물적인 위치 선정으로 찾아 들어가 침착한 오른발 슈팅으로 마무리했다. 득점 직후, 그는 그동안의 모든 설움과 고통을 토해내듯 원정 팬들을 향해 달려가 포효했다. 2024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맛보는 골이자, 축구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었던 끔찍한 부상 터널의 끝을 알리는 부활의 신호탄이었다.조규성에게 지난 1년은 그야말로 악몽과도 같은 시간이었다. 모든 것은 2023-24시즌 종료 후 받은 무릎 수술에서부터 시작됐다. 사실 아시안컵을 앞둔 2023년 12월부터 무릎 반월판에 통증을 안고 있었지만, 그는 팀을 위해 6개월간 고통을 참고 뛰는 투혼을 발휘했다. 시즌이 끝나고 예정대로 수술대에 올랐지만, 누구도 예상치 못한 합병증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재활을 위해 찾은 이탈리아에서 원인 모를 감염이 발생한 것이다. 무릎은 비정상적으로 부어올랐고, 세 차례나 주사기로 물을 빼내야 했다. 결국 감염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한 두 번째 수술을 받아야만 했다. 한 달간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몸무게는 12kg이나 빠졌고, 극심한 고통에 하루 서너 번씩 진통제를 맞으며 밤잠을 설치기 일쑤였다. 그 스스로 "살면서 제일 힘든 시기였다"고 고백할 만큼, 선수 생명마저 위협받았던 최악의 위기였다.그 지옥 같던 시간을 이겨내고 올 시즌 팀에 복귀한 그는 짧게 자른 머리로 비장한 각오를 드러냈다. 그리고 복귀 후 4경기 만에 터진 이번 득점은 단순한 1골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는 "오랫동안 머릿속으로 그렸던 그림"이라며 "이 순간을 1년 넘게 기다렸다"고 벅찬 감정을 숨기지 못했다. 동료들 역시 라커룸에서 축제 분위기를 만들며 그의 귀환을 진심으로 축하해줬다. 이 한 방의 골은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준비하는 홍명보호에도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손흥민과 호흡을 맞출 최전방 스트라이커 자리를 두고 주민규, 오세훈, 오현규 등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부상 전까지 대표팀의 부동의 주전이었던 조규성이 자신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각인시킨 것이다. 물론 아직 30여 분을 소화하는 데 그쳐 90분 풀타임을 뛸 몸 상태를 만드는 것이 당면 과제다. 하지만 선수 생명을 위협했던 최악의 부상을 털어내고 마침내 포효한 그의 발끝에 축구 팬들의 시선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