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더러워' 쑨룽의 막말, 패배 인정 못하고 '한국 때리기'..억울하면 잘하든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경기장에서 중국 선수의 '스포츠맨십 실종' 논란이 불거졌다. 그는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동메달을 획득한 후에도 한국 선수들을 향해 거친 발언을 쏟아내며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논란의 주인공은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의 쑨룽이다. 그는 지난 9일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남자 5000m 계주 결승전 직후 공동취재구역을 지나가며 "더러워! 그냥 더러워!"라고 소리쳤다. 중국 언론들은 이 발언이 앞서 벌어진 경기에서 한국 선수들의 플레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경기에서 한국 대표팀의 마지막 주자 박지원은 중국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과 치열한 접전 끝에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심판은 박지원에게만 페널티를 부여했고, 이로 인해 한국은 실격, 4위였던 중국이 동메달을 차지하게 됐다.

 

중국 매체들은 쑨룽의 외침이 한국 선수들의 반칙으로 인한 억울함을 표출한 것이라고 두둔했다. 

 


하지만 쑨룽은 이틀 전 남자 1000m 결승에서도 박지원과의 몸싸움 과정에서 손으로 얼굴을 치는 등 비매너 행위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당시에도 그는 심판 판정에 불복하며 "박지원 때문에 넘어졌다"고 주장하며 불만을 쏟아냈다.

 

쑨룽은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스포츠맨십은 깨끗하고 순수해야 한다"면서도 "한국 선수들의 위험한 플레이 때문에 페널티가 없다면 쇼트트랙 경기장은 의미가 없다"는 모순된 주장을 펼쳤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경기 결과를 넘어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 정신에 대한 심각한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중국 선수들이 자국에서 열린 국제대회에서 편파판정의 이점을 누리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언행으로 스스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안공항, 교육비행 훈련기부터…단계적 정상화 '시동'

 지난해 12월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폐쇄되었던 무안국제공항 활주로가 부분적으로나마 다시 열린다. 교육용 훈련기에 한해 비행이 재개되면서, 한 달 넘게 발이 묶였던 항공 교육 훈련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21일 부산지방항공청에 따르면, 오는 24일부터 무안국제공항에서 교육용 훈련기의 비행이 허가된다. 이는 지난 19일 부산지방항공청 점검단이 무안공항에서 교육용 훈련을 진행하는 5개 대학과 3개 민간 교육업체를 대상으로 안전, 운항, 검사 등에 대한 철저한 점검을 마친 데 따른 조치다.이번에 비행이 재개되는 훈련기들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파손된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를 사용하지 않고, 조종사의 시계에 의존해 이착륙하는 항공기다. 따라서 계기착륙시설(ILS) 복구와 관계없이 비행이 가능하다는 것이 부산지방항공청의 설명이다.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7C510편(B737-800)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 착륙 과정에서 활주로를 이탈, 계기착륙시설(ILS)의 로컬라이저 안테나를 파손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무안공항 활주로는 전면 폐쇄되었고, 무안공항을 기반으로 훈련하던 항공 교육 기관들은 훈련 중단이라는 직격탄을 맞았다.특히, 무안공항은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울진비행훈련원'과 연계된 훈련 공항으로, 조종사를 꿈꾸는 많은 학생들과 훈련생들이 이용하는 곳이다. 이번 사고로 훈련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지면서, 항공 교육 업계는 물론 훈련생들의 피해와 우려가 컸다.사고 이후 한 달 반가량 무안공항에 발이 묶여 있던 진에어 여객기도 지난 16일 김포공항으로 이동하면서, 무안공항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파손된 로컬라이저 안테나 복구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무안공항의 완전 정상화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부산지방항공청 관계자는 "이번 교육용 훈련기 비행 재개는 무안공항 정상화를 위한 첫걸음"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에 계기착륙시설 복구를 완료하고, 모든 항공기가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제주항공 참사 원인에 대한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는 현재 진행 중이며,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