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더러워' 쑨룽의 막말, 패배 인정 못하고 '한국 때리기'..억울하면 잘하든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경기장에서 중국 선수의 '스포츠맨십 실종' 논란이 불거졌다. 그는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동메달을 획득한 후에도 한국 선수들을 향해 거친 발언을 쏟아내며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논란의 주인공은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의 쑨룽이다. 그는 지난 9일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남자 5000m 계주 결승전 직후 공동취재구역을 지나가며 "더러워! 그냥 더러워!"라고 소리쳤다. 중국 언론들은 이 발언이 앞서 벌어진 경기에서 한국 선수들의 플레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경기에서 한국 대표팀의 마지막 주자 박지원은 중국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과 치열한 접전 끝에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심판은 박지원에게만 페널티를 부여했고, 이로 인해 한국은 실격, 4위였던 중국이 동메달을 차지하게 됐다.

 

중국 매체들은 쑨룽의 외침이 한국 선수들의 반칙으로 인한 억울함을 표출한 것이라고 두둔했다. 

 


하지만 쑨룽은 이틀 전 남자 1000m 결승에서도 박지원과의 몸싸움 과정에서 손으로 얼굴을 치는 등 비매너 행위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당시에도 그는 심판 판정에 불복하며 "박지원 때문에 넘어졌다"고 주장하며 불만을 쏟아냈다.

 

쑨룽은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스포츠맨십은 깨끗하고 순수해야 한다"면서도 "한국 선수들의 위험한 플레이 때문에 페널티가 없다면 쇼트트랙 경기장은 의미가 없다"는 모순된 주장을 펼쳤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경기 결과를 넘어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 정신에 대한 심각한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중국 선수들이 자국에서 열린 국제대회에서 편파판정의 이점을 누리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언행으로 스스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탄핵의 끝자락, 尹 "빨리 직무 복귀해 세대 통합 이룰 것" 언급

헌법재판소가 오는 2월 25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을 종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2월 14일 국회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통과된 지 75일 만이다. 변론이 마무리되면 헌법재판관들의 평의를 거쳐 윤 대통령의 파면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25일 오후 2시, 증거 조사와 양측 대리인의 종합 변론을 진행한 후, 당사자의 최종 의견 진술을 듣겠다"며 "소추위원과 피청구인의 최종 의견 진술에는 시간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이 직접 최후 진술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윤 대통령은 지난달 21일부터 대부분의 변론기일에 직접 출석해 증인신문 과정을 지켜봤으며, 필요할 때 직접 발언도 했다. 이는 대한민국 헌정사상 현직 대통령이 탄핵 심판에 직접 출석한 첫 사례다. 만약 윤 대통령이 11차 변론기일에서 최후 진술을 한다면, 대통령이 직접 탄핵심판에서 최종 변론을 하는 최초의 사례가 된다.헌재는 윤 대통령 측이 신청한 추가 증인 채택 요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만,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 및 여인형 전 사령관과 통화한 시각 등을 확인하기 위해 국정원에 관련 기록 제출을 요청할 계획이다. 헌재는 홍 전 차장의 출입 기록과 국정원 1차장실 부속실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해 조사할 예정이다.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이후, 헌재는 총 11차례의 변론기일을 거쳤다. 이번 변론 종결 이후 재판관들의 평의를 거쳐 선고 결과가 나오며, 일반적으로 변론 종결 후 1~2주 내에 결정이 내려진다. 따라서 이르면 3월 초 윤 대통령의 파면 여부가 확정될 전망이다.헌재는 1월 14일 첫 변론을 시작으로 16차례의 증인 신문을 통해 총 15명의 증인을 심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