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혈당 스파이크? 이제는 '혈당 급상승' 우리말로 바꿔요!


일상 속 깊숙이 자리 잡은 외국어 남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혈당 스파이크'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 '혈당 급상승'이 국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10일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다듬은 우리말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 '혈당 급상승'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전문가 논의와 매회 2500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진행됐으며,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원회에서 최종 선정됐다.

 


'혈당 급상승'에 이어 △금리 대폭 인하(빅 컷) △역량 강화(업스킬링) △금리 소폭 인하(스몰 컷) △가치 향상(밸류업) 순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도 △반려동물 돌보미(펫 시터) △책 소개 영상(북 트레일러) △교차 검증(크로스 체크) 등이 쉬운 우리말로 좋은 평가를 얻었다.

 

반면,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할 외국어로는 '옴부즈퍼슨'이 꼽혔다. '옴부즈퍼슨'은 '아동 권리 대변인'으로 바꿔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외에도 △오프 리시·오프 리쉬(반려견 목줄 미착용 상태) △리스킬링(직무전환 교육) △풀필먼트(물류 종합대행) 등이 쉬운 우리말로 대체해야 할 단어로 조사됐다.

 

특히 국립국어원은 2021년 다듬은 말인 '도로 살얼음'(블랙 아이스)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며 적극적인 우리말 사용을 강조했다. 국어원이 뉴스 빅데이터 '빅카인즈'를 분석한 결과, '블랙 아이스'보다 '도로 살얼음' 사용 비율이 2022년부터 역전되기 시작했으며, 2023년부터는 그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언론 뿐 아니라 재난 문자 등에서도 '도로 살얼음', '도로 위 살얼음' 등으로 활용되면서 나타난 변화로 분석된다.

 

이처럼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 쓰도록 장려하고 있다. 앞으로도 국민들이 어려운 전문 용어나 외국어 대신 쉽고 명확한 우리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막걸리가 와인보다 과학적이다! '조상님들의 비밀 레시피' 최초 공개

 동서양을 대표하는 두 발효주, 와인과 막걸리의 제조 과정에는 흥미로운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단순한 제조 방식의 차이를 넘어, 인류 문명의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와인의 역사는 인류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최초의 와인은 약 8000년 전 조지아 지역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를 거쳐 서유럽으로 전파되며, 특히 기독교 문화권에서 성찬용 포도주로 사용되면서 더욱 발전했다.와인 제조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단순함에 있다. 포도알을 으깨면 자연스럽게 과즙이 나오고, 포도 껍질에 붙어있는 야생 효모가 당분을 분해하며 자연스럽게 발효가 시작된다. 이런 단순한 '단발효' 과정 덕분에 인류는 일찍부터 와인을 즐길 수 있었다.반면 우리의 막걸리는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쌀이라는 원재료부터가 그렇다. 쌀에는 포도와 달리 효모가 바로 먹을 수 있는 당분이 없다. 쌀의 주성분인 전분을 먼저 당분으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당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별한 효소가 필요하다.우리 조상들은 이 문제를 누룩이라는 독특한 발효제로 해결했다. 누룩은 밀이나 보리를 빚어 만든 덩어리로, 그 안에는 효소와 효모가 모두 들어있다. 효소가 먼저 전분을 당분으로 분해하고, 이어서 효모가 그 당분을 먹고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병행 복발효' 방식이다. 이는 마치 압축파일을 푸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이러한 복잡한 과정은 역설적으로 한국 전통주의 다양성을 가져왔다. 막걸리 원액은 14~15도의 높은 도수를 자랑하는데, 이를 걸러내면 약주가 되고, 맑은 윗부분만 따로 모으면 청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