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제 붕어싸만코가 1400원'... 폭등한 아이스크림에 소비자 '분노'

 국내 주요 제과업체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빙그레와 자회사 해태아이스크림, 롯데웰푸드가 3월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빙그레는 다음 달부터 대표 제품인 더위사냥의 가격을 800원에서 1000원으로 25% 인상한다. 국민 아이스크림으로 불리는 슈퍼콘과 붕어싸만코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오른다. 특히 이번 가격 인상은 아이스크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커피 음료인 '아카페라 사이즈업'은 2400원에서 2600원으로, 과채 음료 따옴(235ml)은 2400원에서 2700원까지 올라 최대 12.5%의 인상률을 기록한다.

 

빙그레의 자회사인 해태아이스크림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부라보콘과 시모나의 가격이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인상될 예정이다. 이는 2023년 10월 끌레도르, 투게더 등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 이후 17개월 만의 추가 인상이다.

 


여기에 롯데웰푸드까지 가세하면서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롯데웰푸드는 2월 17일부터 월드콘, 구구콘, 빵빠레, 설레임, 더블비얀코 등 주요 빙과류의 가격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인상한다. 티코와 셀렉션, 제로 미니바이트는 7000원에서 8000원으로 14.3% 오르며, 거북이바와 구구바도 800원에서 1000원으로 25%나 인상된다.

 

업계는 이번 가격 인상의 배경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환율로 인한 경영 환경 악화를 꼽고 있다. 특히 식품 원자재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과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1000원대 아이스크림이 1400원대로 진입하면서, 서민들의 간식거리로 여겨졌던 아이스크림이 더 이상 부담 없는 간식이 아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을 앞두고 이뤄지는 이번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지출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바이오, AI…삼성이 6만 개 일자리로 점찍은 미래는 바로 '이곳'

 국내 재계의 맏형 삼성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하며 사회적 책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삼성은 18일 공식 발표를 통해, 향후 5년간 총 6만 명에 달하는 인력을 신규로 채용하겠다는 통 큰 계획을 세상에 알렸다. 이는 단순한 일자리 확대를 넘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핵심 사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동시에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 세대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을 활짝 열어주겠다는 삼성의 확고한 메시지로 풀이된다.이번 채용 계획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다. 삼성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사업이자 국가 기간 산업의 중추인 반도체 부문을 필두로, 미래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바이오 산업,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한 인공지능(AI) 분야에 채용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곧 삼성이 바라보는 미래 산업의 청사진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초격차 기술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반도체 분야의 인재를 대거 확보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될 AI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영입하여 미래 시장의 패권을 확실히 장악하겠다는 전략적 포석이 깔려있는 것이다.특히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은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다. 삼성은 단순히 신입사원을 뽑는 기존 방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채용연계형 인턴 제도'와 '기술인재 채용'이라는 두 가지 트랙을 병행하여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생들에게 직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인턴십의 규모를 이전보다 대폭 늘려, 취업에 목마른 청년들이 돈 주고도 못 살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인턴십 과정을 통해 그 능력과 잠재력이 검증된 우수 인력에 대해서는 정규직으로 전환 채용하는 문을 활짝 열어두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스펙 쌓기를 넘어, 실질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는 확실한 다리를 놓아주겠다는 점에서 취업 준비생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될 전망이다.이러한 대규모 채용 계획의 배경에는 '인재제일(人材第一)'이라는 삼성의 변치 않는 경영 철학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삼성은 이미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개채용 제도를 도입하며 학벌이나 지연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실력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문화를 정착시킨 바 있다. 현재의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이러한 공채 제도의 근간을 굳건히 유지하며 인재 확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다. 실제로 이번 발표와는 별개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9개에 달하는 주요 계열사들은 이미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하반기 공개채용 절차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계획은 여기에 더해 미래를 향한 삼성의 강력한 투자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