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제 붕어싸만코가 1400원'... 폭등한 아이스크림에 소비자 '분노'

 국내 주요 제과업체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빙그레와 자회사 해태아이스크림, 롯데웰푸드가 3월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빙그레는 다음 달부터 대표 제품인 더위사냥의 가격을 800원에서 1000원으로 25% 인상한다. 국민 아이스크림으로 불리는 슈퍼콘과 붕어싸만코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오른다. 특히 이번 가격 인상은 아이스크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커피 음료인 '아카페라 사이즈업'은 2400원에서 2600원으로, 과채 음료 따옴(235ml)은 2400원에서 2700원까지 올라 최대 12.5%의 인상률을 기록한다.

 

빙그레의 자회사인 해태아이스크림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부라보콘과 시모나의 가격이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인상될 예정이다. 이는 2023년 10월 끌레도르, 투게더 등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 이후 17개월 만의 추가 인상이다.

 


여기에 롯데웰푸드까지 가세하면서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롯데웰푸드는 2월 17일부터 월드콘, 구구콘, 빵빠레, 설레임, 더블비얀코 등 주요 빙과류의 가격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인상한다. 티코와 셀렉션, 제로 미니바이트는 7000원에서 8000원으로 14.3% 오르며, 거북이바와 구구바도 800원에서 1000원으로 25%나 인상된다.

 

업계는 이번 가격 인상의 배경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환율로 인한 경영 환경 악화를 꼽고 있다. 특히 식품 원자재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과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1000원대 아이스크림이 1400원대로 진입하면서, 서민들의 간식거리로 여겨졌던 아이스크림이 더 이상 부담 없는 간식이 아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을 앞두고 이뤄지는 이번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지출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의 한방에 117조 시장 '와르르'... 다이아몬드 업계 '멘붕'

 '영원함'의 상징이었던 다이아몬드 산업이 사상 최악의 위기에 직면했다.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랩그로운 다이아몬드의 공세와 미국의 관세 정책이라는 이중고가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117조원(820억 달러) 규모의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유통 중심지인 벨기에 앤트워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발표한 지난 2일 이후 다이아몬드 일일 배송량이 무려 85%나 급감했다. 앤트워프 다이아몬드 센터의 카런 렌트메이스터르스 CEO는 "관세 발표 이후 이곳에서의 다이아몬드 배송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밝혔다.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에 부과한 10% 관세에서 금이나 구리 같은 산업용 광물들은 제외됐지만, 다이아몬드는 예외를 인정받지 못했다. 더욱이 원산지에 따른 상호 관세까지 예고된 상황이다. 세계 다이아몬드의 90%가 인도에서 연마 공정을 거치는데, 이 연마 공정이 이루어진 국가가 완제품의 원산지로 인정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27%라는 높은 상호관세를 예고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감정기관(GIA) 프리테시 파텔 COO는 "관세 때문에 홍콩, 두바이 등 해외 8개 사무소의 운영을 강화했다"며 "관세가 전체 공급망에 많은 불확실성을 초래했다"고 우려했다.그러나 다이아몬드 산업의 위기는 관세만이 원인이 아니다. 실험실에서 배양된 랩그로운 다이아몬드의 폭발적 성장과 중국의 혼인율 감소 등이 더 근본적인 위협 요인으로 지목된다. 국제다이아몬드거래소에 따르면, 실험실 다이아몬드의 인기가 높아질수록 천연 다이아몬드 가격은 급락하고 있다. 현재 시세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22년 3월 대비 약 40%나 하락한 수준이다.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업체인 드비어스는 지난해 약 2조9200억 원(20억 달러)에 달하는 다이아몬드 재고를 안고 있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부진한 원석 다이아몬드 판매실적을 기록했다.미국에 이어 세계 2위 다이아몬드 소비국인 중국에서는 경제 둔화, 취업난,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혼인신고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다이아몬드 수요가 급락했다. 이는 글로벌 다이아몬드 시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연간 혼인신고 건수는 2013년 1346만 건에서 9년 연속 감소해 2022년에는 683만 건으로 반 토막 났다.이처럼 다이아몬드 산업은 관세 충격, 랩그로운 다이아몬드의 부상, 주요 시장의 수요 감소라는 삼중고에 시달리며 존립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영원히 빛나는' 다이아몬드의 미래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해진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