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제 붕어싸만코가 1400원'... 폭등한 아이스크림에 소비자 '분노'

 국내 주요 제과업체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빙그레와 자회사 해태아이스크림, 롯데웰푸드가 3월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빙그레는 다음 달부터 대표 제품인 더위사냥의 가격을 800원에서 1000원으로 25% 인상한다. 국민 아이스크림으로 불리는 슈퍼콘과 붕어싸만코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오른다. 특히 이번 가격 인상은 아이스크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커피 음료인 '아카페라 사이즈업'은 2400원에서 2600원으로, 과채 음료 따옴(235ml)은 2400원에서 2700원까지 올라 최대 12.5%의 인상률을 기록한다.

 

빙그레의 자회사인 해태아이스크림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부라보콘과 시모나의 가격이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인상될 예정이다. 이는 2023년 10월 끌레도르, 투게더 등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 이후 17개월 만의 추가 인상이다.

 


여기에 롯데웰푸드까지 가세하면서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롯데웰푸드는 2월 17일부터 월드콘, 구구콘, 빵빠레, 설레임, 더블비얀코 등 주요 빙과류의 가격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16.7% 인상한다. 티코와 셀렉션, 제로 미니바이트는 7000원에서 8000원으로 14.3% 오르며, 거북이바와 구구바도 800원에서 1000원으로 25%나 인상된다.

 

업계는 이번 가격 인상의 배경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환율로 인한 경영 환경 악화를 꼽고 있다. 특히 식품 원자재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과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1000원대 아이스크림이 1400원대로 진입하면서, 서민들의 간식거리로 여겨졌던 아이스크림이 더 이상 부담 없는 간식이 아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을 앞두고 이뤄지는 이번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지출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쇼핑몰에 뜬 '늑대견' 3마리…입마개 갑론을박, 펫티켓 어디까지?

 최근 한 여성이 대형 복합 쇼핑몰에 대형견 세 마리를 데리고 나타나 온라인 커뮤니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문제는 '입마개'였다. 견주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통제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혹시 모를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며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펫티켓 논쟁에 다시 불이 붙은 모양새다.논란의 중심에 선 견주 A씨는 지난 10일 자신의 SNS에 "오랜만에 빵 사러 왔다"는 글과 함께 반려견 세 마리와 쇼핑몰을 방문한 영상을 올렸다. 해당 쇼핑몰은 반려동물 출입이 가능하며, 펫파크까지 갖춰져 있어 반려인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 영상 속 A씨는 양손에 목줄을 쥔 채, 입마개를 하지 않은 대형견 세 마리와 함께 쇼핑몰을 활보했다. "늑대 아니냐"는 시민의 질문에 "울프독이다"라고 답하는 모습도 담겼다.영상이 확산되자 누리꾼들은 입마개 착용 여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특히 쇼핑몰은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다는 점에서, 대형견, 특히 늑대 혈통인 '울프독'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입마개는 법적 의무가 아니더라도, 타인을 위한 배려"라거나 "돌발 상황 발생 시 통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졌다.하지만 견주 A씨는 "내 힘으로 충분히 통제 가능한 오전 11:14 2025-04-16목줄을 착용하고 있다"며 "맹견이 아닌 경우 입마개는 선택"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매너 차원에서 하라는 무언의 압박은 사절한다"며 불편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현행 동물보호법상 입마개 착용 의무가 있는 맹견은 도사견,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뿐이다. 울프독은 해당되지 않는다. 법적으로 A씨의 행동에 문제가 없다는 의미다. 하지만 법적인 문제와 별개로, 공공장소에서의 펫티켓 논란은 피할 수 없게 됐다.A씨의 해명에도 누리꾼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는데 과도한 비난"이라는 옹호론과 "법적 의무는 아니더라도, 타인에게 불안감을 주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는 비판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이번 논란은 반려동물 양육 인구 증가와 함께 펫티켓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법적 의무를 넘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안전을 고려하는 성숙한 펫티켓 문화 정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