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기다리던 승리!' 손흥민, 토트넘에 8경기 만에 승전보 안겼다!

 '주장' 손흥민(33)이 1골에 관여하는 맹활약을 펼치며 토트넘 홋스퍼에 8경기 만의 승리를 안겼다.

 

2일(한국시간) 토트넘은 영국 런던 지테크 커뮤니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2025시즌 프리미어리그(PL) 24라운드 브렌트포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2-0 완승을 거뒀다. 

 

지난해 12월 사우스햄튼전 5-0 대승 이후 약 한 달 반 만에 승리의 기쁨을 맛봤다. 토트넘은 최근 리그 4연패 부진에서 벗어나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는 평가이다. 

 

이날 승리의 주역은 단연 손흥민이었다. 왼쪽 측면 공격수로 선발 출전한 손흥민은 전반 29분 날카로운 코너킥으로 선제골의 시발점 역할을 했다. 손흥민이 올린 코너킥은 브렌트포드 수비수 야넬트를 맞고 그대로 골문 안으로 빨려 들어갔다. 공식 기록은 야넬트의 자책골이지만, 사실상 손흥민이 만들어낸 골이나 다름없었다.

 

손흥민의 활약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후반 42분에는 환상적인 스루패스로 아르나우트 단주마의 쐐기골을 어시스트하며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손흥민의 시즌 8호 도움이다.

 


손흥민은 득점 외에도 활발한 움직임과 날카로운 패스로 토트넘 공격을 이끌었다. 축구 통계 매체 '풋몹'에 따르면 손흥민은 이날 90분 풀타임 활약하며 슈팅 2회, 도움 1회, 패스 성공률 79%(23/29), 기회 창출 2회, 자책골 유도 1회 등 공격 전반에 걸쳐 높은 영향력을 보여줬다.

 

영국 현지 매체들도 손흥민에게 찬사를 보냈다. '풋볼 런던'은 "손흥민은 수비 복귀를 위해 질주하고 사르의 늦은 골에서 대단한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진정한 주장의 활약을 보여줬다"라며 평점 8점을 부여했고, '스탠다드' 역시 팀 내 최고 평점인 8점을 주며 "두 골 다 만들었다. 선제골은 잔인한 코너킥이었다. 그는 또 다른 올림피코 골을 노렸을까? 사르를 향한 멋진 도움이었다"라고 극찬했다.

 

토트넘 팬 커뮤니티 '스퍼스 웹'은 "손흥민은 올 시즌 31경기에서 공격 포인트 18개를 올리고 있다"라며 꾸준한 활약을 칭찬했다.

 

한편, 토트넘은 이날 승리로 리그 14위(8승 3무 13패, 승점 27)로 올라섰다. 오랜만에 무실점 경기를 펼치며 수비 불안도 어느 정도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토트넘은 오는 5일 리버풀과 리그컵 4강 2차전을 치른다.

 

롯데카드 다음은 당신?…연이은 금융 범죄, 간편결제마저 '안전지대' 아니었다

 최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같은 대규모 금융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편리함을 무기로 빠르게 성장한 간편결제 서비스마저 범죄의 표적이 되면서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올해 들어 8월까지만 집계된 간편결제 부정 결제 사고 금액이 이미 2억 원을 훌쩍 넘어섰다는 사실은 더 이상 간편결제 서비스가 안전지대가 아님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는 지난해 전체 피해액을 이미 넘어선 수치로, 비대면 금융 거래의 확산과 함께 보안의 허점을 노리는 범죄 수법 또한 날로 교묘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피해 사례의 대부분이 명확한 수법조차 파악되지 않는 '불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간편결제 부정 결제는 총 50건이 발생했으며, 그 피해액은 2억 2천76만 원에 달한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국내 최대 오픈마켓 중 하나인 지마켓에서 발생한 피해가 22건, 1억 6천74만 원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전체 피해액의 약 73%에 해당하는 충격적인 수치다. 그 뒤를 이어 쿠팡페이가 7건(3천8만 원), 비즈플레이가 6건(1천987만 원)으로 나타나, 대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부정 결제 사고는 한때 감소하는 듯 보였으나, 올해 다시 고개를 들며 소비자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이는 간편결제 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점이나 보안 강화 조치가 범죄의 진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피해액 상위 사례들의 범죄 수법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올해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피해 사건은 범인이 불상의 방법으로 탈취한 이용자 정보를 이용해 지마켓에서 해외 놀이공원 입장권을 대량으로 구매한 건으로, 단 한 명의 피해자가 무려 2,970만 원의 손해를 입었다. 2위와 3위 사건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각각 2,613만 원과 1,843만 원의 피해를 낳았다. 이처럼 범죄자들이 어떤 경로로 개인정보와 결제정보를 빼내는지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블랙박스' 범죄가 늘어난다는 것은, 기존의 보안 방식으로는 더 이상 완벽한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기업들이 더욱 고도화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구축하고, 소비자들에게는 다중 인증 설정과 같은 적극적인 보안 조치를 생활화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하게 보여준다.간편결제는 이제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그 편리함의 이면에 도사린 위험은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연이어 발생하는 금융 범죄와 속수무책으로 뚫리는 간편결제 시스템은 단순한 금전적 피해를 넘어, 사회 전반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금융 당국과 관련 기업들은 더 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사후 대응에서 벗어나, 선제적이고 다각적인 보안 강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 스스로도 자신의 정보가 언제든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비밀번호의 주기적인 변경, 의심스러운 링크나 앱 설치 자제 등 정보보호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