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기다리던 승리!' 손흥민, 토트넘에 8경기 만에 승전보 안겼다!

 '주장' 손흥민(33)이 1골에 관여하는 맹활약을 펼치며 토트넘 홋스퍼에 8경기 만의 승리를 안겼다.

 

2일(한국시간) 토트넘은 영국 런던 지테크 커뮤니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2025시즌 프리미어리그(PL) 24라운드 브렌트포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2-0 완승을 거뒀다. 

 

지난해 12월 사우스햄튼전 5-0 대승 이후 약 한 달 반 만에 승리의 기쁨을 맛봤다. 토트넘은 최근 리그 4연패 부진에서 벗어나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는 평가이다. 

 

이날 승리의 주역은 단연 손흥민이었다. 왼쪽 측면 공격수로 선발 출전한 손흥민은 전반 29분 날카로운 코너킥으로 선제골의 시발점 역할을 했다. 손흥민이 올린 코너킥은 브렌트포드 수비수 야넬트를 맞고 그대로 골문 안으로 빨려 들어갔다. 공식 기록은 야넬트의 자책골이지만, 사실상 손흥민이 만들어낸 골이나 다름없었다.

 

손흥민의 활약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후반 42분에는 환상적인 스루패스로 아르나우트 단주마의 쐐기골을 어시스트하며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손흥민의 시즌 8호 도움이다.

 


손흥민은 득점 외에도 활발한 움직임과 날카로운 패스로 토트넘 공격을 이끌었다. 축구 통계 매체 '풋몹'에 따르면 손흥민은 이날 90분 풀타임 활약하며 슈팅 2회, 도움 1회, 패스 성공률 79%(23/29), 기회 창출 2회, 자책골 유도 1회 등 공격 전반에 걸쳐 높은 영향력을 보여줬다.

 

영국 현지 매체들도 손흥민에게 찬사를 보냈다. '풋볼 런던'은 "손흥민은 수비 복귀를 위해 질주하고 사르의 늦은 골에서 대단한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진정한 주장의 활약을 보여줬다"라며 평점 8점을 부여했고, '스탠다드' 역시 팀 내 최고 평점인 8점을 주며 "두 골 다 만들었다. 선제골은 잔인한 코너킥이었다. 그는 또 다른 올림피코 골을 노렸을까? 사르를 향한 멋진 도움이었다"라고 극찬했다.

 

토트넘 팬 커뮤니티 '스퍼스 웹'은 "손흥민은 올 시즌 31경기에서 공격 포인트 18개를 올리고 있다"라며 꾸준한 활약을 칭찬했다.

 

한편, 토트넘은 이날 승리로 리그 14위(8승 3무 13패, 승점 27)로 올라섰다. 오랜만에 무실점 경기를 펼치며 수비 불안도 어느 정도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토트넘은 오는 5일 리버풀과 리그컵 4강 2차전을 치른다.

 

'공짜 휴일'의 민낯…내수 진작 효과는 '0', 정부의 민망한 성적표

 정부가 경기 부양과 국민 휴식권 보장을 명분으로 종종 지정했던 '임시공휴일'이 실제로는 내수 소비 증진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최종 무산된 가운데,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는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긴 연휴는 소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연휴 직전에 소비를 집중시키고 연휴 이후에는 오히려 소비를 위축시키는 '기간 간 대체 효과'를 유발하는 데 그쳤다. 실제로 임시공휴일이 있었던 과거 명절 기간의 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연휴 직전에는 소비가 평소보다 10% 이상 급증했지만 연휴가 끝난 뒤에는 되레 5~8% 감소하는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국 연휴 전후 약 4주간의 전체 카드 사용액을 합산해보면 임시공휴일이 없던 명절과 비교해 총소비 규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하루의 영업일이 줄어드는 효과와 연휴 기간 대면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서로 상쇄된 결과로 풀이된다.특히 임시공휴일의 '약발'이 먹히지 않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해외여행의 급증이 지목됐다. 연휴가 길어질수록 국내에 머물며 소비하기보다는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내수 진작 효과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소비로 상쇄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임시공휴일이 포함됐던 2025년 설 연휴 기간에는 역대 최고 수준의 출국자 수를 기록하며, 외식 등 국내 대면 서비스 소비는 오히려 평소 명절보다 감소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물론 이번 연구는 분석 대상이 된 임시공휴일 사례가 많지 않고, 당시의 경제 여건이나 날씨 등 다른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구를 진행한 조병수 차장 역시 "임시공휴일 지정의 효과에 대해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임시공휴일=내수 활성화'라는 단순한 공식을 재고하고, 보다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의미가 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