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소시지·햄' 암으로 가는 지름길.."당신도 위험하다"

지난달 26일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새로 발생한 국내 암 환자 수는 28만 2047명이다. 남자 14만 7468명, 여자 13만 4579명이다. 50~60대 중년 환자가 절반이다. 특히 진단이 어려운 난소암이 여성 10대 암에 포함되어 눈길을 끈다. 같은 유전자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는 대장암, 난소암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여자 암 환자 13만 4579명 중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유방암으로 21.8%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 갑상선암 18.8%, 대장암 10.0%, 폐암 7.9%, 위암 7.4%, 췌장암 3.5%, 자궁체부암 2.9%, 간암 2.9%, 담낭-담도암 2.6%, 난소암이 2.4%로 10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유방암, 자궁내막암 또는 대장암을 앓았던 적이 있는 여성은 난소암의 위험도가 높다. 같은 유전자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암 1위(2만 8720명)인 유방암은 유전, 호르몬, 출산-수유 여부 등이 영향을 미치지만 최근에는 식습관, 음주 영향이 커지고 있다. 40~60대 환자가 80% 정도다. 과거에 비해 고열량-고지방 음식을 많이 먹고 술을 즐기는 여성도 늘고 있다. 육류가 주식인 미국, 유럽 등은 오래 전부터 유방암이 전체 암 1, 2위를 다투고 있다. 특히 가족력 등 위험 요인이 있는 여성은 평소 음식-음주 조절, 운동을 통해 유방암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대장암은 2022년에만 남녀를 합해서 3만 3158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 전체 암 발생 1, 2위를 다투고 있다. 붉은 고기 등 동물성 지방을 많이 먹고 고기구이가 유행하면서 탄 고기를 먹는 식생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불과 30년 전 고기를 삶아서 먹던 시절에는 대장암이 많지 않았다. 대장암 발병 요인은 식생활 외에 비만, 염증성 장 질환, 유전, 선종성 용종, 신체활동 부족, 음주, 흡연 등이다. 가공육(소시지-햄-베이컨) 섭취도 위험 요인이다.

 

 

대장암의 주요 증상은 화장실에서 발견할 수 있다. 혈변, 끈적한 점액변, 설사-변비, 배변 후 변이 남은 듯 불편한 느낌, 변이 가늘어진 변화가 나타난다. 복부 불편감(복통-복부 팽만), 체중 감소, 피로감도 생긴다. 증상이 보이면 암이 꽤 진행된 경우다. 평소 식습관에 조심하고 정기 검진을 하는 게 좋다. 50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는 매년 대변 검사를 통해 이상이 발견되면 대장 내시경을 할 수 있다.

 

난소암이 매년 3200명이 넘는 신규환자가 발생하면서 여성의 암 10위에 들었다. 40~60대에 집중된 암이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배란, 유전, 석면 노출, 유방암-자궁내막암-대장암을 앓았던 병력 등이 있다. 조기 검진 방법이 현재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일찍 발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증상은 복통, 복부 팽만감, 뱃속 덩어리, 비정상적인 질 출혈, 잦은 소변뇨, 배뇨 곤란, 대하증, 메스꺼움, 구토, 변비, 요통 등이 있다. 최종 진단은 개복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하여 난소 종괴(덩어리)를 적출한 후 조직검사로 하게 된다.

 

17년 한 풀어준 영웅→강등권 추락... 아마노 준의 극적인 인생 반전

 K리그에서 화려한 성공과 쓸쓸한 퇴장을 경험했던 아마노 준이 현재 일본 J리그에서 강등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일본 '야후'는 21일(한국시간) "세컨 톱 포지션을 소화하고 있는 아마노는 경기 흐름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1골 1도움이라는 공격포인트는 다소 아쉬운 인상"이라고 보도했다.1991년생 일본 국적의 공격형 미드필더 아마노 준은 2022년 K리그에 입성했다. 울산 현대(現 울산 HD)는 영원한 라이벌 전북을 제치고 리그 우승을 차지하기 위해 일본 국가대표 출신인 아마노를 임대 영입하며 전력 강화에 나섰다.울산에서의 활약은 그야말로 압도적이었다. 홍명보 감독의 전폭적인 신임 속에 주전 미드필더로 자리매김한 아마노는 2022시즌 38경기에 출전해 11골 2도움을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쳤다. 그의 활약에 힘입어 울산은 17년 만에 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오랜 한을 풀었다.울산과의 완전 이적설이 나돌던 상황에서 2023시즌을 앞두고 뜻밖의 소식이 전해졌다. 아마노는 울산의 '라이벌' 전북 현대로 임대 이적하며 K리그 팬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이 과정에서 홍명보 당시 울산 감독은 "아마노는 내가 아는 일본 선수 중 최악이다. 우리 팀의 일본인 코치(이케다 세이고)도 그를 부끄러워할 것이다"라며 강한 비판을 쏟아내기도 했다.논란 속에 입은 전북 유니폼에서의 결과는 대실패였다. 울산 시절 보여줬던 화려한 모습은 온데간데없었고, 소속팀 전북 역시 부진에 빠지며 K리그 '명문'으로서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다. 이후 아마노는 전북과의 임대 계약을 종료하고 요코하마로 돌아가 일본에서의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하지만 올 시즌 요코하마 소속으로 뛰고 있는 아마노의 활약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요코하마는 치열한 강등권 싸움을 벌이고 있으며, 아마노의 올 시즌 기록은 23경기 출전 1골 1도움에 그치고 있다. 이는 울산에서 보여줬던 화려한 활약과는 거리가 먼 성적이다.이러한 상황에 대해 아마노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팀의 모든 것을 개선해야 한다. 감독이 바뀌기 전까지는 득점이 나오지 않고 있었다. 득점이 없다면 승리도 없기 때문에 그 부분의 퀄리티가 조금 더 좋아져야 한다"라고 언급했다.K리그에서 한 시즌 동안 리그 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했던 아마노가 전북에서의 부진을 거쳐 일본 복귀 후에도 강등권에서 고전하는 모습은 많은 축구 팬들에게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한때 K리그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평가받았던 그가 다시 한번 자신의 기량을 회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