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설 연휴, 조선시대 새해맞이 타임머신 탑승!

 설 연휴, 옛 조상들의 흥겨운 명절 풍경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연들이 열린다. 궁궐과 민간, 각양각색의 새해맞이 풍경을 담은 전통 공연이다. 

 

국립국악원은 설날 당일인 29일 예악당에서 '만사(巳)대길' 공연을 선보입니다. 조선 시대 정월 초하루, 궁궐과 민간에서 펼쳐진 흥겨운 새해맞이 풍경을 전통 음악과 춤으로 화려하게 재현한다. 

 

1부 '왕실의 연회'에서는 왕의 행차를 알리는 장엄한 '대취타' 연주를 시작으로, 웅장한 관악 합주곡 '수제천'과  화려한 궁중 무용 '향아무락'이  관객들을 매료시킨다. 2부 '민간의 연회'에서는 신명 나는  경기·서도·남도 민요와 흥겨운 한량무, 해학과 풍자가 담긴 단막창극, 역동적인 판굿 등이 어우러져 보는 이들에게 신명 나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국립무용단은 29~30일 양일간 '왕을 위한 축제'를 주제로 한 기획 공연 '2025 축제祝·祭'를 개최한다. 악귀를 쫓는 의식 '구나'를 시작으로, 화려한 궁중 무용 '춘앵전'과 '처용무'가 펼쳐지는 '연향',  웅장한 북춤 '무고'가 공연의 대미를 장식하는 '국중대회'까지, 다채로운 궁중 예술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다.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마당놀이 모듬전'이  30일까지 공연된다. '심청이 온다', '춘향이 온다', '놀보가 온다' 등 인기 마당놀이의 가장 재미있는 장면만을 모아 새롭게 구성했다.

 

새해 첫날,  조선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나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

 

반도체, 바이오, AI…삼성이 6만 개 일자리로 점찍은 미래는 바로 '이곳'

 국내 재계의 맏형 삼성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하며 사회적 책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삼성은 18일 공식 발표를 통해, 향후 5년간 총 6만 명에 달하는 인력을 신규로 채용하겠다는 통 큰 계획을 세상에 알렸다. 이는 단순한 일자리 확대를 넘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핵심 사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동시에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 세대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을 활짝 열어주겠다는 삼성의 확고한 메시지로 풀이된다.이번 채용 계획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다. 삼성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사업이자 국가 기간 산업의 중추인 반도체 부문을 필두로, 미래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바이오 산업,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한 인공지능(AI) 분야에 채용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곧 삼성이 바라보는 미래 산업의 청사진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초격차 기술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반도체 분야의 인재를 대거 확보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될 AI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영입하여 미래 시장의 패권을 확실히 장악하겠다는 전략적 포석이 깔려있는 것이다.특히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은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다. 삼성은 단순히 신입사원을 뽑는 기존 방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채용연계형 인턴 제도'와 '기술인재 채용'이라는 두 가지 트랙을 병행하여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생들에게 직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인턴십의 규모를 이전보다 대폭 늘려, 취업에 목마른 청년들이 돈 주고도 못 살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인턴십 과정을 통해 그 능력과 잠재력이 검증된 우수 인력에 대해서는 정규직으로 전환 채용하는 문을 활짝 열어두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스펙 쌓기를 넘어, 실질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는 확실한 다리를 놓아주겠다는 점에서 취업 준비생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될 전망이다.이러한 대규모 채용 계획의 배경에는 '인재제일(人材第一)'이라는 삼성의 변치 않는 경영 철학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삼성은 이미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개채용 제도를 도입하며 학벌이나 지연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실력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문화를 정착시킨 바 있다. 현재의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이러한 공채 제도의 근간을 굳건히 유지하며 인재 확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다. 실제로 이번 발표와는 별개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9개에 달하는 주요 계열사들은 이미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하반기 공개채용 절차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계획은 여기에 더해 미래를 향한 삼성의 강력한 투자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