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김우빈X수지, 이병헌 감독 없이 달린다... 김은숙 매직 통할까

 스타 작가 김은숙과 '흥행 보증수표' 김우빈, 수지의 만남으로 2025년 최고 기대작으로 꼽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다 이루어질지니'가 베일을 벗었다. 

 

하지만 화려한 라인업 뒤에 가려진 이병헌 감독의 중도 하차 소식이 전해지며 제작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27일 방송계에 따르면, 당초 '다 이루어질지니' 연출을 맡았던 이병헌 감독은 지난해 촬영 과정에서 일신상의 이유로 하차했다. 

 

'극한직업', '멜로가 체질' 등을 통해 특유의 감각적 연출을 선보였던 이병헌 감독의 하차는 '다 이루어질지니'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이병헌 감독의 빈자리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를 성공적으로 이끈 안길호 PD가 채웠다. '더 글로리'를 통해 섬세하고 몰입감 있는 연출력을 인정받은 안길호 PD의 합류는 '다 이루어질지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 이루어질지니' 제작진은 "이병헌 감독 하차 이후 안길호 PD가 합류하여 지난해 10월 말 모든 촬영을 마쳤다"며 "현재 CG 등 후반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많은 분야의 전문 스태프들이 오랜 시간 함께 고민하며 올해 최고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작품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다 이루어질지니'는 서로의 생사여탈권을 쥔 감정 과잉 지니(김우빈)와 감정 결여 가영(수지)이 세 가지 소원을 둘러싸고 벌이는 로맨틱 코미디다.

 

'시크릿 가든',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 등 수많은 히트작을 탄생시킨 김은숙 작가의 신작이라는 점, 그리고 김우빈, 수지라는 '믿고 보는 배우'들의 만남만으로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이병헌 감독의 하차라는 변수를 겪으며 베일에 싸였던 '다 이루어질지니'가 과연 2025년 최고 기대작이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완성도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SK그룹의 '자식 구하기' 혈투... 이번엔 SK에코플랜트에 4,800억 '수혈'

 SK그룹이 또 한 번의 대규모 사업 재편을 단행했다. 이번에는 SK에코플랜트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수혈 작전'이 핵심이다. SK㈜는 13일, 전날 이사회에서 SK머티리얼즈 산하 반도체 소재 자회사 4곳을 SK에코플랜트로 편입하는 사업구조개편안을 의결했다고 발표했다.이번 결정으로 SK트리켐(지분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는 SK㈜의 현물 출자 방식으로,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100%)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SK에코플랜트 산하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약 4,800억 원 규모의 자본이 SK에코플랜트에 투입되는 효과가 발생한다.편입되는 4개 회사는 모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과 밀접한 소재 기업들이다. SK트리켐은 반도체 제조용 전구체, SK레조낙은 식각 가스,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는 OLED 소재,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는 반도체 포토 소재를 생산하는 전문 기업들이다. SK㈜ 측은 "SK에코플랜트가 기존 반도체 EPC 사업과 리사이클링 사업에 소재 분야까지 더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성장 스토리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SK에코플랜트의 IPO를 위한 '생존 전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프리 IPO로 1조 원의 자금을 유치하면서 2026년까지 상장을 약속했다. 만약 이 기한을 지키지 못할 경우, 수천억 원의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SK에코플랜트의 독자 상장이 어렵다고 판단한 SK그룹이 '고육지책'으로 우량 자회사들을 떼어내 SK에코플랜트에 붙이는 형태의 구조조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사실 이는 처음이 아니다. SK㈜는 지난해에도 반도체 가공·유통사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SK에코플랜트에 편입시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