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김우빈X수지, 이병헌 감독 없이 달린다... 김은숙 매직 통할까

 스타 작가 김은숙과 '흥행 보증수표' 김우빈, 수지의 만남으로 2025년 최고 기대작으로 꼽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다 이루어질지니'가 베일을 벗었다. 

 

하지만 화려한 라인업 뒤에 가려진 이병헌 감독의 중도 하차 소식이 전해지며 제작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27일 방송계에 따르면, 당초 '다 이루어질지니' 연출을 맡았던 이병헌 감독은 지난해 촬영 과정에서 일신상의 이유로 하차했다. 

 

'극한직업', '멜로가 체질' 등을 통해 특유의 감각적 연출을 선보였던 이병헌 감독의 하차는 '다 이루어질지니'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이병헌 감독의 빈자리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를 성공적으로 이끈 안길호 PD가 채웠다. '더 글로리'를 통해 섬세하고 몰입감 있는 연출력을 인정받은 안길호 PD의 합류는 '다 이루어질지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 이루어질지니' 제작진은 "이병헌 감독 하차 이후 안길호 PD가 합류하여 지난해 10월 말 모든 촬영을 마쳤다"며 "현재 CG 등 후반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많은 분야의 전문 스태프들이 오랜 시간 함께 고민하며 올해 최고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작품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다 이루어질지니'는 서로의 생사여탈권을 쥔 감정 과잉 지니(김우빈)와 감정 결여 가영(수지)이 세 가지 소원을 둘러싸고 벌이는 로맨틱 코미디다.

 

'시크릿 가든',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 등 수많은 히트작을 탄생시킨 김은숙 작가의 신작이라는 점, 그리고 김우빈, 수지라는 '믿고 보는 배우'들의 만남만으로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이병헌 감독의 하차라는 변수를 겪으며 베일에 싸였던 '다 이루어질지니'가 과연 2025년 최고 기대작이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완성도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나이 때문에 못 뛴다고?…'마지막 재계약' 도장 찍은 메시, 2026 월드컵 출전 사실상 확정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38·인터 마이애미)가 선수 경력의 마지막 페이지를 장식할 최종 계약서에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체 '마이애미 헤럴드'는 18일, 메시가 소속팀 인터 마이애미와 선수로서의 마지막 재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하며, 그의 빛나는 커리어가 마이애미의 분홍색 유니폼과 함께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12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수개월간 진행된 양측의 협상은 마침내 메시의 동행 결정으로 마침표를 찍었으며, 공식 발표는 10일 내로 이루어질 전망이다.메시는 단순한 선수 한 명 이상의 존재였다. 2023년 7월 합류 이후, 그는 75경기에 출전해 62골 30도움이라는 경이로운 공격 포인트를 쌓아 올리며 팀의 심장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 시즌에는 리그 최우수선수(MVP)에 등극했고, 38세의 나이가 무색하게 올 시즌 역시 21경기에서 20골 11도움을 기록하며 여전한 기량을 과시하고 있다. 그의 영향력은 경기장 밖에서 더욱 폭발적이었다. 메시 합류 전 연간 5,000만 달러 수준이었던 구단 수익은 그의 등장과 함께 2배 이상 급증했으며, 올 시즌에는 무려 3억 달러(약 4,166억 원)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시는 그야말로 인터 마이애미라는 구단의 가치와 규모를 송두리째 바꿔놓은 '걸어 다니는 기업' 그 자체였다.이번 재계약은 축구 팬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2026 북중미 월드컵 출전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청신호로 해석된다. 메시는 그동안 나이를 이유로 월드컵 출전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몸 상태가 완벽하지 않다면 월드컵에 나가지 않는 것이 낫다"라며 완전한 컨디션이 전제 조건임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MLS 무대를 압도하는 현재의 활약과 아르헨티나 대표팀 내에서의 굳건한 존재감을 고려할 때, 부상이라는 변수만 없다면 그의 대표팀 합류는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카타르 월드컵 우승의 영광을 함께했던 리오넬 스칼로니 감독 역시 '축구의 신'과 함께 또 한 번의 위대한 도전에 나설 것이 유력하다. 8번의 발롱도르 수상, 클럽 통산 40개의 우승 트로피 등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족적을 남긴 메시가 그의 커리어 황혼기에 마지막 월드컵 무대를 밟고 새로운 전설을 쓸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