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복 입는 사람이 사라졌다'… 설날 앞둔 한복점 충격 실태

 설 명절을 앞두고 전통 한복 산업이 존폐 위기에 직면했다. 한때 명절의 상징이었던 한복이 이제는 '박물관 속 유물'이 되어가는 현실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2022 한복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내 한복 업체는 2010년 445개에서 2020년 258개로 급감했다. 종사자 수도 617명에서 367명으로 줄었으며, 매출액은 193억9천700만 원에서 103억6천700만 원으로 반토막 났다.

 

현장의 목소리는 더욱 절박하다. 10년째 한복점을 운영 중인 A 씨는 "20년 전만 해도 명절이면 가족 전체가 한복을 대여하거나 맞추러 왔다"며 "지금은 아이들 한복 문의조차 거의 없어졌다"고 토로했다. 코로나19 이후 매출이 이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폐업을 고민 중이라고 한다.

 

한복의 메카로 불리던 한복거리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0년 경력의 B 씨는 "결혼식 폐백용 한복 주문이 간혹 있을 뿐, 명절 한복 문화는 완전히 사라졌다"고 말했다. 한복 관리의 어려움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같은 거리의 7년차 한복점 운영자 C 씨는 "종업원 2명을 모두 내보내고 혼자 버티고 있지만, 앞날이 불투명하다"고 하소연했다. 온라인 판매로의 전환도 쉽지 않다. 복잡한 규정과 절차는 고령의 한복 장인들에게 또 다른 장벽이 되고 있다.

 

건국대 김시월 소비자학과 교수는 "한복이 불편하고 비싸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착용 문화 자체가 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해결책으로 정부의 한복 구매 지원이나 학교 등 공공기관에서의 한복 문화 활성화를 제안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는 한복 대신 편한 평상복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명절에도 격식을 차리지 않는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한복은 '특별한 날에만 입는 불편한 옷'이라는 인식이 굳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우리나라의 전통 의류 문화가 급격히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상혁, ‘끝났다’ 비난에도 '금메달 꿈' 꺽이지 않아

 높이뛰기 국가대표 우상혁이 모델이라는 버킷리스트를 성취한 후 다시 본업인 선수로 돌아와 올림픽 메달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향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최근 프랑스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의 2025 여름 컬렉션에 모델로 깜짝 등장하며 화제를 모은 그는, 일시적인 화려함을 뒤로하고 진천선수촌에서 훈련에 매진하며 또 다른 도약을 준비 중이다.지난 3일, 서울 잠실 한강공원에서 열린 에르메스 패션쇼는 전문 모델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셀럽들이 런웨이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가수 박효신, 배우 위하준, 펜싱 국가대표 오상욱 등과 함께 당당히 런웨이를 걸은 우상혁은, 188cm의 큰 키와 60kg대의 균형 잡힌 몸으로 무대를 소화했다. 모델 데뷔 후 일주일 뒤인 8일, 충북 진천선수촌에서 다시 운동복 차림으로 만난 우상혁은 여전히 밝은 미소를 간직한 채 진지한 자세로 훈련에 임하고 있었다.그는 “모델은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다”며 “오랜만에 가슴이 요동치는 긴장감을 느꼈다”고 전했다. 모델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통해 얻은 긴장이 오히려 훈련에 좋은 에너지가 되었고, 자신을 다시 뛰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우상혁은 “재밌는 경험이었고 나중에 또 해보고 싶다”며 “하지만 본업은 높이뛰기 선수이며, 아시안게임 금메달과 올림픽 메달에 도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우상혁은 이미 세계무대에서 실력을 입증한 바 있다.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 한국 육상 사상 최고 순위인 4위를 기록한 그는 이후 세계실내육상선수권대회 우승과 실외선수권 준우승을 거머쥐며 세계적인 높이뛰기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지난해 파리에서 열린 올림픽에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으로 아쉬움을 남겼다.실망을 뒤로한 그는 올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