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설 연휴, 서울부터 제주까지..미술관으로 떠나는 문화 여행

 길어진 설 연휴,  집콕 대신 전국 각지의 미술관으로 문화 나들이를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설 당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미술관이 문을 열고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은 설 연휴 기간 동안 무료로 운영되어 더욱 풍성한 문화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한국 실험미술의 거장 이강소 작가의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풍래수면시'전, 그리고 VR 기기를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순간이동'전이 진행 중이다. 

 

덕수궁관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근현대 수묵채색화를 비교 감상할 수 있는 '수묵별미'전을 통해 동아시아 미술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도 보기 힘든 1급 국가문물 회화 작품들이 다수 전시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고려시대 불교 미술의 정수를 만나보고 싶다면 리움미술관의 '전·함: 깨달음을 담다'전을 추천한다.  고려시대 사경(寫經)과 경함(經函)의 진수를 보여주는 국보급 유물 2점을 집중 조명하는 전시로, 섬세하고 화려한 고려 불교 미술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지방에서도 수준 높은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대구에서는 간송미술관이 새롭게 문을 열고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오원 장승업 등 조선 회화 거장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광양 전남도립미술관에서는 한국 인상주의 화가 오지호 탄생 1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을 통해 그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한다. 

 

부산 부산현대미술관에서는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작품 세계를 집대성한 대규모 회고전이 열린다.

 

전북 전북도립미술관에서는 이건희 컬렉션 전국 순회전의 마지막 전시를 통해 한국 근현대 미술의 걸작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처럼 설 연휴 기간 동안 전국의 미술관들은 다채로운 전시와 프로그램으로 관람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새해 첫 문화 생활, 미술관에서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동네의원'으로 전공의들은 돌아갔다

 의대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 1년 전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대거 동네의원으로 돌아오고 있다. 생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정부의 태도 변화 없이는 수련 현장 복귀는 없다는 입장이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1년,  의료 공백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18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2월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며 사직했던 전공의 9,222명 중 5,176명(56.1%)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60%에 가까운 3,023명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이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의원에 재취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전공의들은 일반의 자격으로 개원가에 대거 진출하면서 의료계 지형도 변화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일반의는 1만 684명으로, 전년 대비 76.9% 급증했다. 특히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는 76%나 늘었다.반면, 전공의들의 빈자리는 여전히 크다. 전국 의료기관의 인턴은 전년 대비 96.4%, 레지던트는 88.7% 급감했다. 전문의 숫자는 작년 말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올해 전문의 시험 합격자가 급감하면서 '전문의 공급 절벽'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김선민 의원은 "필수의료 의사를 늘리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의사를 감소시키는 역설적인 상황"이라며 "정부는 하루빨리 의료계와 협의해 1년째 이어진 의료 대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전공의들은 정부의 태도 변화 없이는 수련 현장 복귀는 없다는 입장이다. 앞서 한 언론사의 인터뷰한 사직 전공의 10명 중 6명은 복귀 조건으로 의대 정원 감원을 꼽았다. 한 전공의는 "국민 대부분이 12·3 비상계엄을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