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설 연휴, 서울부터 제주까지..미술관으로 떠나는 문화 여행

 길어진 설 연휴,  집콕 대신 전국 각지의 미술관으로 문화 나들이를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설 당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미술관이 문을 열고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은 설 연휴 기간 동안 무료로 운영되어 더욱 풍성한 문화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한국 실험미술의 거장 이강소 작가의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풍래수면시'전, 그리고 VR 기기를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순간이동'전이 진행 중이다. 

 

덕수궁관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근현대 수묵채색화를 비교 감상할 수 있는 '수묵별미'전을 통해 동아시아 미술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도 보기 힘든 1급 국가문물 회화 작품들이 다수 전시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고려시대 불교 미술의 정수를 만나보고 싶다면 리움미술관의 '전·함: 깨달음을 담다'전을 추천한다.  고려시대 사경(寫經)과 경함(經函)의 진수를 보여주는 국보급 유물 2점을 집중 조명하는 전시로, 섬세하고 화려한 고려 불교 미술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지방에서도 수준 높은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대구에서는 간송미술관이 새롭게 문을 열고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오원 장승업 등 조선 회화 거장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광양 전남도립미술관에서는 한국 인상주의 화가 오지호 탄생 1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을 통해 그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한다. 

 

부산 부산현대미술관에서는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작품 세계를 집대성한 대규모 회고전이 열린다.

 

전북 전북도립미술관에서는 이건희 컬렉션 전국 순회전의 마지막 전시를 통해 한국 근현대 미술의 걸작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처럼 설 연휴 기간 동안 전국의 미술관들은 다채로운 전시와 프로그램으로 관람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새해 첫 문화 생활, 미술관에서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서울 진출 거부하고 1900억 매출... 고집센 성심당, 빵업계 '황제' 등극

 대전을 대표하는 지역 빵집 성심당이 지난해 190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전국에 1300여 개 매장을 보유한 대형 프랜차이즈 뚜레쥬르보다 더 높은 영업이익을 올렸다는 점이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성심당의 2023년 매출액은 1937억6000만원으로, 전년(1243억원) 대비 56%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78억원으로, 전년(315억원)보다 50% 늘어났다. 이는 뚜레쥬르 운영사인 CJ푸드빌의 지난해 영업이익 299억원(별도 기준)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성심당의 성장세는 최근 몇 년간 가파르게 상승해왔다. 2020년 488억원이었던 매출액은 2021년 628억원, 2022년 817억원을 거쳐 2023년에는 1243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억원 대를 돌파했다. 대형 프랜차이즈가 아닌 단일 빵집으로는 최초로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선 기록이다.이러한 호실적에 힘입어 성심당의 매장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말 10개에 불과했던 매장은 지난해 말 기준 16개로 늘어났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성심당이 대전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지 않고도 이 같은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이다.1956년 문을 연 성심당은 67년이 넘는 역사 동안 '당일 생산, 당일 판매' 원칙을 고수하며 대전에서만 매장을 운영해오고 있다. 이러한 원칙은 신선함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어 성심당만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성심당이 전국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12년 대전역에 분점을 낸 이후부터다. 특히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 성심당의 치아바타와 바게트가 아침 식사로 제공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이런 명성은 입소문을 타고 전국으로 퍼져 대전을 방문하는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