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만원대 선물세트가 대세"...초저가 시대 접어든 명절 선물 시장

 경제 한파가 명절 선물 문화마저 바꾸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2일 발표한 '2024년 설 명절 소비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은 그 어느 때보다 실용적이고 알뜰한 명절 준비에 나설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받고 싶은 선물'과 '주고 싶은 선물' 간의 뚜렷한 간극이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8.2%가 '현금이나 상품권'을 받고 싶다고 답했지만, 정작 이를 선물하겠다는 응답은 19%에 그쳤다. 대신 과일·농산물(48.5%)이나 정육(29.2%) 등 전통적인 명절 선물이 여전히 선물용으로 선호됐다.

 

서울 강남구에서 마트를 운영하는 김모(54) 씨는 "요즘은 3만 원대 선물세트를 찾는 손님이 대부분"이라며 "작년만 해도 10만 원대 선물세트가 잘 나갔는데, 올해는 진열해놓기도 미안할 정도"라고 털어놨다.

 

실제 조사에서도 선물 가격대는 '3~5만 원'이 52.1%로 가장 높았으며, 20만 원 이상 고가 선물을 준비한다는 응답은 3.9%에 불과했다. 전체 설 선물 예산도 '20~29만 원'이 24.9%로 최다를 기록했는데, 이는 5년 전 평균 예산이었던 35~40만 원대와 비교하면 크게 감소한 수준이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향후 전망이다. 응답자의 31.66%가 작년보다 지출을 줄이겠다고 답했으며, 지출을 늘리겠다는 응답은 22%에 그쳤다. 지출 감소의 주된 이유로는 지속되는 고물가(58.9%)와 경기 불황(36.7%), 가계부채 증가(31.0%) 등이 꼽혔다.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는 "올해 설 물가를 분석한 결과, 주요 선물세트 가격이 평균 12% 상승했다"며 "특히 과일선물세트는 작년 대비 20% 이상 올라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가성비'(68.2%)를 가장 중요한 구매 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유통업계는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맞춰 1~3만 원대 실속형 선물세트를 대거 출시하고 있다. A대형마트 관계자는 "올해는 5만 원 이하 선물세트 물량을 작년보다 30% 늘렸다"며 "1인 가구를 위한 소용량 선물세트도 새롭게 기획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이번 설이 내수 활성화의 전환점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쿠폰 지원 확대, 전통시장 활성화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막걸리가 와인보다 과학적이다! '조상님들의 비밀 레시피' 최초 공개

 동서양을 대표하는 두 발효주, 와인과 막걸리의 제조 과정에는 흥미로운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단순한 제조 방식의 차이를 넘어, 인류 문명의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와인의 역사는 인류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최초의 와인은 약 8000년 전 조지아 지역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를 거쳐 서유럽으로 전파되며, 특히 기독교 문화권에서 성찬용 포도주로 사용되면서 더욱 발전했다.와인 제조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단순함에 있다. 포도알을 으깨면 자연스럽게 과즙이 나오고, 포도 껍질에 붙어있는 야생 효모가 당분을 분해하며 자연스럽게 발효가 시작된다. 이런 단순한 '단발효' 과정 덕분에 인류는 일찍부터 와인을 즐길 수 있었다.반면 우리의 막걸리는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쌀이라는 원재료부터가 그렇다. 쌀에는 포도와 달리 효모가 바로 먹을 수 있는 당분이 없다. 쌀의 주성분인 전분을 먼저 당분으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당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별한 효소가 필요하다.우리 조상들은 이 문제를 누룩이라는 독특한 발효제로 해결했다. 누룩은 밀이나 보리를 빚어 만든 덩어리로, 그 안에는 효소와 효모가 모두 들어있다. 효소가 먼저 전분을 당분으로 분해하고, 이어서 효모가 그 당분을 먹고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병행 복발효' 방식이다. 이는 마치 압축파일을 푸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이러한 복잡한 과정은 역설적으로 한국 전통주의 다양성을 가져왔다. 막걸리 원액은 14~15도의 높은 도수를 자랑하는데, 이를 걸러내면 약주가 되고, 맑은 윗부분만 따로 모으면 청주가 된다. 더 나아가 이를 증류하면 소주가 탄생한다. 조선 시대 명주로 꼽히는 감홍로나 홍로주도 모두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효모와 효소의 차이다. 한자어를 살펴보면 그 의미가 더욱 선명해진다. 효소(酵素)는 '항아리 속에서 흰 쌀을 삭히는 물질'을, 효모(酵母)는 '삭힌 것을 품고 술을 낳는 어머니'를 의미한다. 이처럼 정교한 발효 과학이 우리 전통주 문화에 깃들어 있었던 것이다.현대에는 맥주라는 또 다른 양조 방식도 주목받고 있다. 맥주는 보리를 발아시켜 효소를 얻는 '단행 복발효'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막걸리의 병행 복발효만큼 높은 도수를 얻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발효 방식은 그 지역의 문화와 기후, 농작물의 특성을 반영하며 발전해 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