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갈색빵 먹는다고 다가 아니다"... 당신이 속고 있는 '충격적 진실'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아침 식사 대용으로 즐겨 찾는 식사 빵의 선택 기준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 사이에서 혼란을 주는 것이 바로 '통곡물빵'과 '통밀빵'. 비슷해 보이는 이 두 제품, 과연 어떤 차이가 있으며 영양학적으로 어떤 것이 더 이점이 있을까?

 

통곡물 빵은 곡물의 모든 부분을 온전히 사용해 만든 빵이다. 여기서 '모든 부분'이란 밀기울, 배젖, 배아를 포함한다. 밀기울은 곡물의 외피로, 풍부한 섬유질과 비타민 B군,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배젖은 곡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주로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아는 곡물의 생명력이 담긴 씨눈으로 비타민 E와 건강에 이로운 지방, 피토케미컬이 농축되어 있다.

 

반면 일반적인 정제 밀가루는 밀기울과 배아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부드럽고 하얀 식감을 얻지만, 그 과정에서 상당량의 영양소가 손실된다. 이러한 이유로 통곡물 제품이 영양학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통밀빵과 통곡물빵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되는 곡물의 종류다. 통밀빵이 밀이라는 단일 곡물만을 사용한다면, 통곡물빵은 귀리, 현미, 보리, 메밀 등 다양한 곡물을 혼합해 만든다. 두 종류 모두 정제 밀가루로 만든 일반 식빵보다는 건강에 이롭지만, 포함된 곡물의 종류에 따라 영양소 프로필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귀리가 들어간 통곡물빵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영양성분을 비교해보면, 통곡물빵 한 조각(28g)에는 75kcal의 칼로리와 4g의 단백질, 2g의 식이섬유, 108mg의 나트륨, 29mg의 칼슘이 함유되어 있다. 같은 양의 통밀빵은 71kcal의 칼로리, 4g의 단백질, 2g의 식이섬유, 129mg의 나트륨, 46mg의 칼슘을 제공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시중에는 통곡물이나 통밀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상당량의 정제 밀가루가 혼합된 제품들이 존재한다. 빵의 갈색 외형에도 속지 말아야 한다. 일부 제품은 일반 흰빵에 캐러멜 색소를 첨가해 통곡물빵처럼 보이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현명한 선택을 위해서는 반드시 제품 포장지의 성분 표시를 확인해야 하며, 특히 첫 번째 성분이 '100% 통곡물' 또는 '100% 통밀'로 표기되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사모님은 뭐 하세요?" 질문 한 마디에 국회 법사위 '아수라장'... 대체 무슨 일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가 16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의 간사 선임 문제를 둘러싸고 또다시 극심한 파행을 겪었다. 회의는 시작부터 여야 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고, 이내 고성과 삿대질이 오가는 험악한 분위기로 치달았다. 갈등의 도화선은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발언이었다. 박 의원은 나 의원의 간사 선임에 대해 "협치도 중요하지만 내란 세력과 함께할 수는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반탄'(탄핵 반대) 활동에 적극적이었던 나 의원의 자격을 문제 삼았다. 그는 나아가 "남편이 법원장인데 아내가 법사위 간사를 하는 것이 맞느냐"며, 춘천지방법원장인 나 의원의 남편을 언급하며 이해충돌 가능성을 정면으로 지적했다.바로 그때, 같은 당 곽규택 의원이 나 의원을 엄호하고 나섰다. 그는 박 의원을 향해 "박지원 의원 사모님은 지금 뭐 하세요?"라고 날카롭게 물었다. 순간 회의장에는 정적이 흘렀고, 박 의원은 "돌아가셨어요"라고 침착하게 답했다. 이 한마디에 회의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되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일제히 격앙된 반응을 쏟아냈다. 서영교 의원은 "완전히 실수했다"고 외쳤고, 박은정 의원은 "돌아가셨다는데 뭐가 그러냐, 예의를 지키라"고 질타했다. 박균택 의원은 "너무 무례하다, 인간이 돼라"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추미애 법사위원장 역시 "지나치다, 윤리위 제소감"이라며 곽 의원의 발언을 엄중히 경고했다.하지만 곽 의원은 "남편 이야기를 누가 먼저 했냐"며 물러서지 않았고, 김용민 의원은 "(나 의원 남편은) 직업적 연관성이 있지만, 왜 돌아가신 분을 함부로 얘기하냐"며 즉각적인 사과를 촉구했다. 박 의원의 부인 이선자 씨는 2018년 뇌종양 투병 끝에 별세했으며, 박 의원은 아내를 향한 애틋한 마음을 담아 책을 펴낼 정도로 깊은 슬픔을 간직해왔다. 격한 공방이 오가는 동안 박 의원은 굳은 표정으로 자리를 지켰다. 잠시 정회가 선포된 후, 곽 의원은 박 의원에게 다가가 "의원님, 죄송합니다. 미처 몰랐습니다"라며 고개를 숙여 사과했고, 박 의원은 그의 손을 잡으며 사과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회의가 속개된 후,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나 의원 간사 선임 안건은 결국 야당 단독 표결로 부결 처리되며 이날의 파행은 마무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