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갈색빵 먹는다고 다가 아니다"... 당신이 속고 있는 '충격적 진실'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아침 식사 대용으로 즐겨 찾는 식사 빵의 선택 기준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 사이에서 혼란을 주는 것이 바로 '통곡물빵'과 '통밀빵'. 비슷해 보이는 이 두 제품, 과연 어떤 차이가 있으며 영양학적으로 어떤 것이 더 이점이 있을까?

 

통곡물 빵은 곡물의 모든 부분을 온전히 사용해 만든 빵이다. 여기서 '모든 부분'이란 밀기울, 배젖, 배아를 포함한다. 밀기울은 곡물의 외피로, 풍부한 섬유질과 비타민 B군,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배젖은 곡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주로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아는 곡물의 생명력이 담긴 씨눈으로 비타민 E와 건강에 이로운 지방, 피토케미컬이 농축되어 있다.

 

반면 일반적인 정제 밀가루는 밀기울과 배아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부드럽고 하얀 식감을 얻지만, 그 과정에서 상당량의 영양소가 손실된다. 이러한 이유로 통곡물 제품이 영양학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통밀빵과 통곡물빵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되는 곡물의 종류다. 통밀빵이 밀이라는 단일 곡물만을 사용한다면, 통곡물빵은 귀리, 현미, 보리, 메밀 등 다양한 곡물을 혼합해 만든다. 두 종류 모두 정제 밀가루로 만든 일반 식빵보다는 건강에 이롭지만, 포함된 곡물의 종류에 따라 영양소 프로필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귀리가 들어간 통곡물빵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영양성분을 비교해보면, 통곡물빵 한 조각(28g)에는 75kcal의 칼로리와 4g의 단백질, 2g의 식이섬유, 108mg의 나트륨, 29mg의 칼슘이 함유되어 있다. 같은 양의 통밀빵은 71kcal의 칼로리, 4g의 단백질, 2g의 식이섬유, 129mg의 나트륨, 46mg의 칼슘을 제공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시중에는 통곡물이나 통밀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상당량의 정제 밀가루가 혼합된 제품들이 존재한다. 빵의 갈색 외형에도 속지 말아야 한다. 일부 제품은 일반 흰빵에 캐러멜 색소를 첨가해 통곡물빵처럼 보이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현명한 선택을 위해서는 반드시 제품 포장지의 성분 표시를 확인해야 하며, 특히 첫 번째 성분이 '100% 통곡물' 또는 '100% 통밀'로 표기되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3000원에 '한강 파노라마뷰' 직관? 역대급 가성비 출퇴근길 열린다

 서울의 스카이라인을 가르며 흐르던 한강이 이제 단순한 풍경을 넘어 시민들의 발이 되어줄 새로운 대중교통의 길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는 오는 18일 오전 11시, 도시의 동서를 잇는 첫 번째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가 역사적인 첫 출항에 나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는 꽉 막힌 도로와 복잡한 지하철에서 벗어나, 강물의 흐름을 따라 여유롭게 이동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혁신적인 시도다.한강버스는 마곡에서 출발해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을 거쳐 잠실에 도착하는 총 28.9km 구간을 운항한다. 초기 운영 단계인 다음 달 10일까지는 시민들이 새로운 교통수단에 적응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까지, 약 1시간에서 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하며 여유로운 스케줄을 제공한다.본격적인 출퇴근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은 추석 연휴가 끝나는 다음 달 10일부터 시작된다. 평일 오전 7시부터 운행을 개시하며, 특히 바쁜 출퇴근 시간에는 15분 간격의 급행 노선을 투입하여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증편 운항이 시작되면 평일 기준 왕복 30회로 운행 횟수가 대폭 늘어난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전 구간을 이동할 경우, 급행 노선은 82분, 모든 선착장에 정차하는 일반 노선은 127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10월 말 이후 4척의 선박을 추가로 도입해 연내 총 12척의 선박으로 왕복 48회까지 운항을 확대한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시민들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인 요금은 편도 3,00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기존 버스나 지하철과 동일하게 환승 할인이 적용되어 경제적 부담을 줄였다. 특히,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카드인 기후동행카드 사용자라면 월 5,000원만 추가하면 한강버스까지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한강을 따라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에게는 획기적인 선택지가 될 전망이다.한강버스는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움직이는 전망대'를 표방한다. 파노라마 통창을 통해 시시각각 변하는 한강의 다채로운 풍경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다. 여의도에서 압구정으로 향하는 구간에서는 서울의 상징인 남산서울타워가 한눈에 들어오고, 옥수와 뚝섬 사이에서는 인기 드라마에 등장했던 청담대교의 웅장한 모습을 즐길 수 있다. 해가 진 뒤에는 그 매력이 배가된다. 여의도의 '서울달' 조형물부터 63빌딩, 한강철교, 세빛섬, 노들예술섬, 그리고 반포대교의 명물인 달빛무지개분수까지, 서울의 대표적인 야경 명소들이 눈앞에서 황홀하게 펼쳐진다.서울시는 승객의 안전과 편의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야외 난간은 당초 설계안이었던 1m에서 1.3m로 높여 안전성을 강화했으며, 각 선박에는 경복궁호, 남산서울타워호 등 서울의 랜드마크 이름을 붙여 친근함을 더했다. 선내에는 커피와 베이글 등 간단한 식음료를 즐길 수 있는 카페테리아가 마련되어 있고,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거치대 20대와 교통약자를 위한 휠체어석 4석도 구비했다. 모든 좌석에는 개인용 접이식 테이블과 구명조끼가 비치되어 있다.버스뿐만 아니라 선착장 역시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7개 모든 선착장에는 편의점, 카페, 치킨, 라면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입점해 승객들을 맞이한다. 특히 여의도 선착장에는 스타벅스가, 잠실 선착장에는 유명 카페 테라로사가 문을 열었으며, 망원 선착장에는 반려동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카페가 운영되는 등 각 선착장마다 특색 있는 매력을 뽐낸다.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버스는 바쁜 도시 생활 속에서 여유를 찾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것"이라며, "강 위는 물론 각각의 선착장 또한 문화와 트렌드가 어우러지는 하나의 광장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