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테슬라 '추락' 언제까지?…머스크, 입 열 때마다 '불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각종 기행과 논란이 테슬라의 브랜드 가치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현지시간) 글로벌 브랜드 평가 기관 브랜드 파이낸스에 따르면, 올해 테슬라의 브랜드 가치는 430억 달러로 지난해(583억 달러) 대비 26%나 폭락했다. 테슬라 브랜드 가치는 2023년 초 662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반면, 도요타는 647억 달러로 자동차 업계 브랜드 가치 1위를 차지했고, 메르세데스-벤츠가 530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매년 전 세계 5000개 이상 기업의 재무 실적, 브랜드 투자, 소비자 인식 등을 분석해 브랜드 가치를 산출한다. 올해는 약 17만 5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1만 6000명이 테슬라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조사 결과, 테슬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브랜드 가치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론 머스크 CEO의 정치적 행보와 기행이 소비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데이비드 헤이그 브랜드 파이낸스 CEO는 "머스크를 혁신가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의 정치적 성향이나 기행에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도 많다"며 "이는 테슬라 차량 구매를 망설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테슬라의 브랜드 이미지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모두 하락했다. 특히 '고려도', '평판', '추천'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고려도'는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 제품 구매를 얼마나 고려하는지, '평판'은 해당 브랜드를 얼마나 좋게 평가하는지, '추천'은 다른 사람에게 해당 브랜드를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유럽 시장에서 테슬라의 브랜드 이미지는 지난해보다 크게 하락했으며, 미국 외 지역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와 BYD에 추월당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시장에서는 높은 충성도를 유지했지만, 추천 점수는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테슬라가 이러한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머스크 리스크를 해소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헤이그 CEO는 "테슬라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와 함께 머스크 CEO의 기행으로 얼룩진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네의원'으로 전공의들은 돌아갔다

 의대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 1년 전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대거 동네의원으로 돌아오고 있다. 생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정부의 태도 변화 없이는 수련 현장 복귀는 없다는 입장이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1년,  의료 공백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18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2월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며 사직했던 전공의 9,222명 중 5,176명(56.1%)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60%에 가까운 3,023명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이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의원에 재취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전공의들은 일반의 자격으로 개원가에 대거 진출하면서 의료계 지형도 변화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일반의는 1만 684명으로, 전년 대비 76.9% 급증했다. 특히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는 76%나 늘었다.반면, 전공의들의 빈자리는 여전히 크다. 전국 의료기관의 인턴은 전년 대비 96.4%, 레지던트는 88.7% 급감했다. 전문의 숫자는 작년 말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올해 전문의 시험 합격자가 급감하면서 '전문의 공급 절벽'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김선민 의원은 "필수의료 의사를 늘리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의사를 감소시키는 역설적인 상황"이라며 "정부는 하루빨리 의료계와 협의해 1년째 이어진 의료 대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전공의들은 정부의 태도 변화 없이는 수련 현장 복귀는 없다는 입장이다. 앞서 한 언론사의 인터뷰한 사직 전공의 10명 중 6명은 복귀 조건으로 의대 정원 감원을 꼽았다. 한 전공의는 "국민 대부분이 12·3 비상계엄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처럼 전공의들도 정부의 일방적인 증원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전공의들은 의료 소송 부담 완화, 미필 전공의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 마련 등도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의료 공백 장기화를 막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의 대화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