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테슬라 '추락' 언제까지?…머스크, 입 열 때마다 '불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각종 기행과 논란이 테슬라의 브랜드 가치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현지시간) 글로벌 브랜드 평가 기관 브랜드 파이낸스에 따르면, 올해 테슬라의 브랜드 가치는 430억 달러로 지난해(583억 달러) 대비 26%나 폭락했다. 테슬라 브랜드 가치는 2023년 초 662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반면, 도요타는 647억 달러로 자동차 업계 브랜드 가치 1위를 차지했고, 메르세데스-벤츠가 530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매년 전 세계 5000개 이상 기업의 재무 실적, 브랜드 투자, 소비자 인식 등을 분석해 브랜드 가치를 산출한다. 올해는 약 17만 5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1만 6000명이 테슬라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조사 결과, 테슬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브랜드 가치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론 머스크 CEO의 정치적 행보와 기행이 소비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데이비드 헤이그 브랜드 파이낸스 CEO는 "머스크를 혁신가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의 정치적 성향이나 기행에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도 많다"며 "이는 테슬라 차량 구매를 망설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테슬라의 브랜드 이미지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모두 하락했다. 특히 '고려도', '평판', '추천'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고려도'는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 제품 구매를 얼마나 고려하는지, '평판'은 해당 브랜드를 얼마나 좋게 평가하는지, '추천'은 다른 사람에게 해당 브랜드를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유럽 시장에서 테슬라의 브랜드 이미지는 지난해보다 크게 하락했으며, 미국 외 지역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와 BYD에 추월당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시장에서는 높은 충성도를 유지했지만, 추천 점수는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테슬라가 이러한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머스크 리스크를 해소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헤이그 CEO는 "테슬라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와 함께 머스크 CEO의 기행으로 얼룩진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쇼핑몰에 뜬 '늑대견' 3마리…입마개 갑론을박, 펫티켓 어디까지?

 최근 한 여성이 대형 복합 쇼핑몰에 대형견 세 마리를 데리고 나타나 온라인 커뮤니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문제는 '입마개'였다. 견주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통제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혹시 모를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며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펫티켓 논쟁에 다시 불이 붙은 모양새다.논란의 중심에 선 견주 A씨는 지난 10일 자신의 SNS에 "오랜만에 빵 사러 왔다"는 글과 함께 반려견 세 마리와 쇼핑몰을 방문한 영상을 올렸다. 해당 쇼핑몰은 반려동물 출입이 가능하며, 펫파크까지 갖춰져 있어 반려인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 영상 속 A씨는 양손에 목줄을 쥔 채, 입마개를 하지 않은 대형견 세 마리와 함께 쇼핑몰을 활보했다. "늑대 아니냐"는 시민의 질문에 "울프독이다"라고 답하는 모습도 담겼다.영상이 확산되자 누리꾼들은 입마개 착용 여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특히 쇼핑몰은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다는 점에서, 대형견, 특히 늑대 혈통인 '울프독'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입마개는 법적 의무가 아니더라도, 타인을 위한 배려"라거나 "돌발 상황 발생 시 통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졌다.하지만 견주 A씨는 "내 힘으로 충분히 통제 가능한 오전 11:14 2025-04-16목줄을 착용하고 있다"며 "맹견이 아닌 경우 입마개는 선택"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매너 차원에서 하라는 무언의 압박은 사절한다"며 불편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현행 동물보호법상 입마개 착용 의무가 있는 맹견은 도사견,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뿐이다. 울프독은 해당되지 않는다. 법적으로 A씨의 행동에 문제가 없다는 의미다. 하지만 법적인 문제와 별개로, 공공장소에서의 펫티켓 논란은 피할 수 없게 됐다.A씨의 해명에도 누리꾼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는데 과도한 비난"이라는 옹호론과 "법적 의무는 아니더라도, 타인에게 불안감을 주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는 비판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이번 논란은 반려동물 양육 인구 증가와 함께 펫티켓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법적 의무를 넘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안전을 고려하는 성숙한 펫티켓 문화 정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