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역대급 연휴에 너도 나도 해외여행 떠나!

올해 설날 연휴가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6일간 이어지면서 해외여행 수요가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여행업계는 가족과의 만남을 뒤로 미루거나 가족 단위로 해외여행을 선택한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15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1월 25일~30일) 기간의 해외 항공권 예약이 전년 설 연휴(2월 9일~12일) 대비 약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남아 지역은 전년 대비 4배, 일본은 1.5배, 그 외 지역도 평균 1~1.5배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패키지여행 수요도 급증했다. 인기 여행지는 일본과 베트남이 주를 이루지만, 긴 휴일을 활용해 유럽 등 장거리 여행지를 선택하는 사람들도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하루 연차를 사용하면 최대 9일까지 쉴 수 있는 이번 설 연휴가 장거리 여행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공항공사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선 여객 수는 8930만8868명으로 전년 대비 30.1% 증가했다. 이는 2019년 기록한 역대 최고 수치(9090만322명)의 98.2%에 해당한다. 

 

특히 인천국제공항은 지난해 여객 수 7066만9246명으로 2019년 7057만8050명을 뛰어넘으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청주국제공항 또한 에어로케이와 티웨이항공 등의 운항 증가로 전년 대비 181.3% 증가한 146만8686명의 여객 수를 기록하며 국내 공항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김해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 등 일부 지방 공항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하지만 김해국제공항은 지난해 12월 여객 수가 88만1092명으로 2019년 대비 6.1%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대구국제공항과 무안국제공항 역시 각각 77.7%와 120%까지 여객 수를 끌어올리며 정상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여행업계는 올해 해외여행 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면서도 변수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원화 약세로 인한 고환율은 여행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며 수요를 일부 위축시키고 있다.  

 

또한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지방 공항에 대한 불안감을 높이며 해외여행객의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연휴가 다가오며 신규 예약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해외여행 수요가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안전 문제와 여행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설 연휴를 계기로 해외여행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지만, 여행객의 안전과 경제적 요건을 충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업계와 공항 당국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학생들 보는 앞에서 교장에게 '음식물 테러'… '솜방망이' 처벌 받아

 교권이 무너진 현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자녀 문제로 학교를 찾은 학부모가 수많은 학생과 교직원이 지켜보는 가운데 교장의 머리에 식판을 뒤엎는 등 폭력을 행사해 재판에 넘겨졌다.사건은 지난 6월 2일, 대구 동구의 한 중학교 급식실에서 벌어졌다. 학부모 A(50·여)씨는 자녀 문제 상담을 위해 교장 B(61·여)씨를 찾아왔다. 하지만 B씨가 자신을 기다리지 않고 급식실에서 먼저 식사하고 있다는 사실에 격분했다. 분노를 참지 못한 A씨는 급식실로 들어가 B씨에게 "지금 밥이 쳐 넘어가냐"며 거친 욕설을 내뱉었다.A씨의 폭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녀는 들고 있던 식판을 그대로 B씨의 머리 위로 뒤집어엎어 음식물이 교장의 머리와 옷으로 쏟아지게 했다. 그것으로도 분이 풀리지 않았는지, 빈 식판을 B씨의 머리 부위에 던지고 멱살까지 잡아 거세게 흔들었다. 이 모든 과정은 점심 식사를 하던 수많은 학생과 교사들 앞에서 벌어졌다. 이로 인해 교장 B씨는 전치 2주의 상해를 입었다.A씨의 비상식적인 행동은 계속됐다. 폭력 행사 후 귀가 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A씨는 다시 학교로 돌아와 교장을 찾으며 소란을 피웠다. 학생 생활 안전부장 교사가 20분간 두 차례에 걸쳐 퇴거를 요구했지만, A씨는 이를 무시하고 자리를 지켰다. 결국 학교 측의 112 신고로 경찰관이 출동하고 나서야 상황은 일단락됐다.1일, 대구지법 형사11단독 전명환 판사는 특수상해 등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또한, 보호관찰 2년과 사회봉사 120시간을 명령했다.전명환 판사는 판결 이유에 대해 "많은 학생이 있는 자리에서 머리에 음식을 쏟은 행위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그 장면을 목격한 선생님과 학생들에게 상당한 정신적 충격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다만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지 못한 점은 불리한 정상이지만, 잘못을 인정하는 점, 식판으로 직접 머리를 가격한 것은 아닌 점, 상해의 정도가 그리 중하지 않은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교권을 유린한 학부모의 행위에 대해 법원이 집행유예를 선고하면서, 처벌 수위를 둘러싼 논란도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