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적 같은 휴전 합의..이스라엘-하마스, '6주 휴전 합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15일(현지시간) 가자지구에서 전격적인 휴전에 합의했다. 이는 중동 정세에 중대한 변화를 의미하며, 서방 국가들뿐만 아니라 레바논, 예멘, 이란 등지에서도 환영하는 분위기가 일고 있다. 가자지구와 이스라엘 간의 지속적인 분쟁은 여러 차례의 군사적 충돌을 낳았고, 이번 휴전 합의는 국제사회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마스는 이 합의에 대해 “이번 공격 중단은 우리의 국민과 저항, 그리고 세계의 자유인들이 이뤄낸 성과”라며, “이는 이스라엘과의 투쟁과 우리 국민의 해방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자축했다. 가자지구에서는 주민들이 거리로 나와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들며 기쁨을 표현했다. 가자 중부의 데이르 알발라 거리에서는 박수와 발 구르기 소리가 울려 퍼지며 축제 분위기를 연출했고, 가자 남부의 칸유니스 시장에서는 즉석 퍼레이드가 벌어졌다.

 

이스라엘 측은 이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과의 통화에서 “수십 명의 인질과 그들의 가족들의 고통을 끝내준 데 대해 감사하다”고 전했다. 이어 양측은 조만간 워싱턴에서 만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대통령 교체기를 맞아, 현직 조 바이든 대통령과 차기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가자전쟁 휴전과 관련해 각기 다른 입장을 내비쳤다. 바이든 대통령은 "내 외교 노력은 끊임없이 계속됐다"며 이번 휴전이 이뤄진 배경을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하마스가 극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는 점과 이란, 레바논의 휴전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휴전이 미국 외교의 성과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은 트루스소셜에서 “우리는 중동에서 인질들을 위한 합의를 도출했다”라며 “이것은 미국과 세계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백악관에 복귀하면 중동에서 일어날 변화들을 상상해 보라며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양측의 협상 참여와 협력 덕분에 이번 합의가 성사되었으며, 바이든 정부의 오랜 노력과 트럼프 당선인의 위협이 협상의 성과를 이끌어낸 것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하마스가 중재국인 이집트에 협상에 진지하게 참여할 의사를 밝힌 뒤, 트럼프의 위협이 휴전 협상을 촉발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 휴전 합의는 단기적인 평화에 불과하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휴전이 6주 동안의 초기 단계에 불과하며, 이후의 2단계와 3단계에서 본격적인 전쟁 종식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2단계 휴전에서는 이스라엘 남성 군인의 석방과 영구적 휴전, 이스라엘 군의 완전 철수 등의 의제가 논의될 예정인데, 이는 휴전의 지속 여부를 가를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합의가 쉽게 무산될 수도 있다는 경고를 내놓았다.

 

휴전 협상의 핵심은 인질 석방과 팔레스타인 수감자들의 교환이다. 하마스는 먼저 이스라엘 인질 33명을 석방하고, 시신들을 귀환시킬 예정이다. 이스라엘은 33명의 자국 민간인 인질이 석방될 때마다 팔레스타인 수감자 30명을 풀어주기로 했다. 이스라엘 여성 군인 1명 당 팔레스타인 수감자 50명이 석방되며, 총 석방될 팔레스타인 수감자 수는 약 1000명으로 예상된다. 이 합의는 19일에 발효될 예정이며, 그 이후에는 휴전 이행 여부가 집중적으로 지켜질 것이다.

 

중동의 복잡한 정세 속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이번 휴전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지만, 여전히 많은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 이 휴전이 중동 지역의 안정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또 다른 충돌의 전주곡이 될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번 합의가 성사되기까지의 과정은 미국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간의 이해관계가 얽힌 복잡한 협상에서 나온 결실이다. 향후 몇 주간 이 휴전이 진정성 있게 이행될 수 있을지, 그리고 두 나라가 지속 가능한 평화로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될 것이다.

 

9900원에 빵 무제한? 가성비 vs. 음식 낭비

 개점 전부터 긴 줄을 서는 '오픈런' 현상까지 벌어지는 인기 빵 뷔페에서 남겨지는 빵이 속출하며 '푸드 파이터' 논란이 일고 있다. 남은 음식에 대한 규제가 없어, 맛만 보고 버리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음식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CJ푸드빌 뚜레쥬르는 강남과 압구정 직영점에서 '그린 플레이트'라는 베이커리 뷔페를 제공 중이다. 성인 9900원, 미취학 아동 6900원에 음료 한 잔과 뚜레쥬르 빵을 1시간 동안 무제한으로 맛볼 수 있다. 압구정점은 매일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선착순 50명, 강남점은 주말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최대 42팀으로 이용이 제한된다.TLJ 빵 뷔페는 '가성비'를 앞세워 인기를 끌고 있으며, 유튜브에는 이를 직접 경험한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다. 강남점의 경우 새벽 4시부터 줄을 서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오픈런'이 발생하고 있다. 14만 구독자를 보유한 빵 전문 유튜버 '빵튜브 뽀니'는 "오전 8시부터 운영되는데 7시부터 줄이 엄청 길다"며 웨이팅 상황을 전했다. 또 다른 유튜버 '각궁이의 이색맛집' 역시 "오전 7시 5분에 웨이팅했는데 11시에나 먹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하지만 영상에는 먹다 남은 빵이 수북이 쌓여 있어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빵튜브 뽀니'는 "사람들이 한 입만 먹고 버린 빵이 너무 많다. 최소한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튜버 '독거또랭이'는 퇴식구의 빵 쓰레기 모습을 공개하며 "푸드 파괴자들만 모였냐. 손도 안 댄 빵들이 많다"며 "열심히 일하는 직원들을 생각해서라도 깨끗하게 먹은 접시를 인증하자"고 꼬집었다.이처럼 빵 뷔페의 인기 뒤에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남은 음식 포장이 불가능한 뷔페 시스템과 규제 없는 운영 방식이 음식 낭비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빵 뷔페를 운영하는 CJ푸드빌 측은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 외에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은 내놓지 않고 있다.일각에서는 환경 부담금을 도입하거나, 남은 음식 포장을 허용하는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빵 뷔페의 '가성비' 이미지에 가려진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