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탑, 11년 만의 고백 "오징어 게임2, 용기 낸 이유는..."


배우 최승현(탑)이 11년의 침묵을 깨고 대중 앞에 섰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2' 출연은 그에게 과거의 그림자를 딛고 다시 시작할 용기를 주었지만, 동시에 냉정한 현실을 자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15일 한 인터뷰에서 최승현은 시종일관 긴장한 기색이 역력했다. 2017년 마약 혐의 이후 자숙의 시간을 보내며 겪었을 심적 고통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자리였다. 그는 "오랜만의 인터뷰라 적당한 시기를 기다렸다"며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다.

 

'오징어 게임2' 출연은 최승현에게 "양날의 검"과 같았다. 그는 극 중 '약쟁이 래퍼' 타노스 역을 맡아 과장된 연기를 선보였지만, 대중의 반응은 싸늘했다. 과거 마약 혐의와 겹쳐 보일 수밖에 없는 역할이었기에, 그의 연기는 진정성보다는 조롱 섞인 시선에 직면해야 했다.

 

최승현은 이러한 반응을 예상하지 못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나의 과오와 부끄러운 과거에 직면해야 하는 캐릭터라서 고민이 많았다"며 "마약 투약 장면을 찍을 때는 심리적으로 쉽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그는 "모든 평가는 내가 받아들여야 한다"며 덤덤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그에게 다시 시작할 용기를 준 건 황동혁 감독이었다. 최승현은 "10년 동안 아무도 나를 찾아주지 않았다"며 "황 감독님의 제안이 아니었다면 연예계 복귀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황 감독의 믿음에 보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연기했지만, 대중의 마음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인터뷰에서 가장 가슴 아팠던 순간은 그가 빅뱅 멤버들에 대한 미안함을 토로할 때였다. 그는 마약 혐의 이후 팀에 큰 피해를 줬다는 죄책감에 시달렸고, 결국 탈퇴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지금도 멤버들에게 연락할 수 없다"는 그의 말에는 후회와 그리움이 뒤섞여 있었다.

 

최승현은 앞으로 배우와 가수로서 활동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그의 앞날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대중의 용서를 얻고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뼈를 깎는 노력과 자기 성찰이 필요해 보인다.

 

한때 최고의 아이돌 그룹 멤버였던 그의 초라한 복귀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대중의 사랑은 한순간에 사라질 수 있으며, 한 번 저지른 실수는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긴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최승현이 진정한 용서를 구하고 새로운 길을 걸어갈 수 있을지, 그의 행보가 기대된다. 

 

“경이롭다” 빌 게이츠가 홀린 한국의 힘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이자 빌앤멜린다 게이츠재단 이사장인 빌 게이츠가 21일 하루 동안 한국 정치·경제·보건 주요 인사들을 연달아 만나며 숨 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3년 만에 이뤄진 이번 방한에서 그는 이재명 대통령, 우원식 국회의장, 김민석 국무총리를 차례로 예방하고, 국내 언론과 간담회를 갖는 등 광범위한 ‘광폭 행보’를 펼쳤다. 방한의 핵심 목적은 한국과의 글로벌 보건 협력 확대였지만, 여기에 더해 인공지능(AI), 소형모듈원자로(SMR) 같은 첨단 기술과 미래 에너지 분야에 대한 논의도 병행됐다. 특히 게이츠 이사장은 저소득 국가 백신 보급 프로젝트와 관련해 한국과의 협업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며, 구체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대감을 높였다.이날 오전 게이츠 이사장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을 방문해 이재명 대통령을 접견했다. 그는 한국의 백신, 진단기기, 솔루션 분야 기술을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 20년 안에 전 세계 아동 사망자 수를 연간 200만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이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며 “한국의 혁신적인 바이오 제품들이 경이로운 수준이며, 이를 통해 전 세계적 공공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백신연구소(IVI)와 함께 에스디바이오센서, SK, LG, 유바이오로직스 등 구체적인 국내 기업들을 직접 거론하며 성과를 칭찬하기도 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과 진단기기의 성과를 언급하며 “저는 이 기업들의 제품을 직접 접할 기회가 많았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인류 전체를 위한 공공 활동에 경의를 표한다”며 “대한민국 정부도 협력할 방안을 최대한 모색하겠다”고 화답했다.오찬 자리에서는 김민석 국무총리와 회동이 이어졌다. 양측은 글로벌 보건 협력 확대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으며, 김 총리는 오는 가을 한국에서 열릴 세계 바이오 서밋 행사에 게이츠 이사장의 참석을 요청했다. 또한 게이츠재단 한국사무소 개소를 통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협력 채널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게이츠 이사장 역시 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 일정에서는 국회를 방문해 우원식 국회의장과 회담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수준을 국내총생산(GDP)의 0.7%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며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그는 “글로벌 보건 개선을 위해서는 한국 같은 국가의 적극적인 재정적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이에 대해 “대한민국 역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다”며 “국회도 초당적으로 ODA 확대를 지지하며 보건 협력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이어가겠다”고 답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같은 날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도 이 같은 메시지를 거듭 강조하며, 한국이 글로벌 보건 향상을 위한 예산 배정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재차 당부했다.그는 또 최근 재단이 진행 중인 아프리카 언어 기반 AI 파일럿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현지 주민들과 인공지능이 대화하며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약 개발과 보급 과정에서도 큰 혁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AI 기술을 국제 보건 분야에 접목하는 것이 앞으로 재단의 주요 사업 축 중 하나임을 밝힌 것이다.이번 방한을 계기로 국내 바이오 업계와 게이츠재단 간 협력 논의도 활발히 진행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날 재단과 단독 미팅을 열고 차세대 예방 의약품 개발 및 글로벌 보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 트레버 먼델 게이츠재단 글로벌 헬스 부문 대표,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참석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또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라이트재단) 역시 같은 날 게이츠재단과 간담회를 갖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간담회에는 바이오니아, 유바이오로직스, LG화학, 노을, 에스디바이오센서, SK바이오사이언스, 쿼드메디슨 등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7곳이 참여해 백신·치료제·진단기기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재단의 국제 보건 투자 방향과 접점을 찾았다.게이츠 이사장의 이번 행보는 한국의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세계 보건 증진에 적극 활용하려는 전략적 구상과 맞닿아 있다. 그는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재정적 기여 확대를 촉구하는 한편, 업계를 상대로는 실질적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AI와 SMR 같은 미래 기술 분야까지 논의의 범위를 확장한 점도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방한이 단발적 만남에 그치지 않고 향후 구체적 프로젝트로 이어질 경우, 한국이 글로벌 보건과 에너지 혁신에서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