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멈출 줄 모르는' 현대캐피탈, 삼성화재 셧아웃 12연승 질주

 현대캐피탈이 멈출 줄 모르는 승리 행진을 이어가며 선두 독주 체제를 굳혔다.

 

15일 현대캐피탈은 대전충무체육관에서 열린 도드람 2024~2025 V리그 남자부 삼성화재와의 4라운드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3-0(25-22, 25-18, 25-20) 완승을 거뒀다. 

 

이로써 현대캐피탈은 무려 12연승이라는 무서운 기세를 이어가며 시즌 19승 2패, 승점 55점으로 2위 대한항공(승점 40점)과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반면 삼성화재는 7승 14패, 승점 26점으로 4위 도약의 기회를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

 

이날 현대캐피탈은 레오(16득점)-허수봉(16득점) 쌍포를 앞세워 삼성화재를 압도했다. 최민호(10득점), 정태준(9득점), 신영석(8득점)까지 고르게 활약하며 완벽한 경기력을 선보였다. 특히 신영석은 강력한 서브로 상대 리시브 라인을 흔들며 승리의 숨을 공신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하지만 삼성화재는 막심(15득점)과 알리(10득점)가 분전했지만, 국내 선수들의 공격력 부재를 드러내며 완패를 당했다.

 


현대캐피탈의 12연승은 지난해 11월 23일 우리카드전 패배 이후 이어진 무서운 상승세다. 탄탄한 조직력과 막강한 공격력을 앞세워 리그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필립 블랑 현대캐피탈 감독은 "선수들의 집중력과 경기력이 최고조"라며 "의무팀의 노력으로 선수들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큰 힘"이라고 연승 비결을 밝혔다.

 

김상우 삼성화재 감독은 "현대캐피탈은 조직력과 개인 기량 모두 뛰어난 팀"이라며 "상대 서브를 버텨내지 못한 것이 패인"이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일본은 '유료', 한국은 '무료'…넷플릭스 WBC 중계권 독점에 '민심 폭발'

 글로벌 OTT 공룡 넷플릭스가 일본 야구계에 거대한 폭탄을 투하했다. 2026년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의 일본 내 독점 중계권을 확보한 것이다. 이는 특정 국가대표팀의 경기를 넷플릭스가 독점하는 사상 초유의 사건으로, 안방에서 지상파 채널을 통해 '공짜'로 경기를 즐겨온 일본 야구팬들은 충격과 분노에 휩싸였다. 일부 언론은 이를 19세기 미국의 함대가 일본을 강제 개항시킨 '흑선(黒船)의 침략'에 비유하며 격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사건의 발단은 지난달 26일, WBC를 주관하는 MLB 사무국이 홈페이지에 올린 공지였다. MLB는 "넷플릭스가 2026년 WBC의 새로운 '홈'이 된다"고 공식 발표하며, "넷플릭스는 일본 시청자들에게 처음으로 WBC 생중계를 제공하며, 야구계 최고 권위의 국제 대회에 대한 탁월한 접근성을 선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탁월한 접근성'이라는 포장과 달리, 이는 사실상 유료 구독자에게만 시청을 허락하겠다는 선언이었다.야구는 일본에서 단순한 스포츠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야구 천재' 오타니 쇼헤이의 등장은 WBC를 국민적 축제로 만들었다. 실제로 2023년 WBC 당시 오타니가 등판한 이탈리아와의 8강전은 평균 가구 시청률 48%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일본 대표팀의 7경기는 모두 시청률 40%를 넘겼고, 인터넷 중계를 포함한 모든 매체의 시청률은 약 75%에 달했다. 전 국민의 4분의 3이 지켜본 '국민 행사'가 하루아침에 유료 구독 서비스의 독점 콘텐츠로 전락한 것이다.넷플릭스가 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손에 넣기 위해 1억 달러(약 1400억 원)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베팅했다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일본 지상파 방송사들은 입찰 경쟁에서 속수무책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넷플릭스의 이런 파격적인 행보는 단순히 일본 내 구독자를 늘리려는 전략을 넘어, 광고 기반의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려는 '파괴적인 변화'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일본 대중의 반발은 거세다. 2023년 WBC의 일본 경기 메인 스폰서였던 딥 주식회사마저 "많은 사람들이 WBC를 부담 없이 즐길 기회가 박탈될 가능성이 있다"며 공식적으로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을 발표할 정도다.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 결론부터 말하면, 한국에서 넷플릭스가 WBC를 독점하는 일은 현행법상 불가능하다. 방송법에 명시된 '보편적 시청권' 조항 때문이다. 이 법은 올림픽, 월드컵, 그리고 WBC처럼 국민적 관심이 큰 스포츠 이벤트는 국민 대다수가 시청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WBC의 경우, 전체 가구의 75% 이상이 시청할 수 있는 방송 수단을 확보해야 하므로 OTT 단독 중계는 원천적으로 차단된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넷플릭스의 '일본 침공'이 결코 남의 일만은 아니라고 경고한다. 숙명여대 도준호 교수는 "OTT가 라이브 스포츠 중계권을 확보하는 것은 굉장히 전략적인 결정"이라며, "보편적 시청권 보장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애매한 영역'의 대회들은 앞으로 OTT의 입찰 경쟁 무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넷플릭스가 로컬 중계권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한 이상, 일본에서 시작된 '중계권 전쟁'이 언제 다른 나라, 다른 종목으로 번질지 모르는 일촉즉발의 상황이 시작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