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2025년, 두바이를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이유

 두바이 관광청이 2025년 새해를 맞아 겨울 여행객을 위한 특별한 매력을 공개했다. 

 

10월부터 4월까지 이어지는 두바이의 겨울은 온화한 기온 속에서 다채로운 경험을 만끽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다. 올겨울, 잊지 못할 여행을 선사할 두바이의 매력을 지금 바로 확인해보자.

 

세계 최고층 빌딩 버즈 칼리파부터 돛 모양의 상징적인 호텔 버즈 알 아랍, 미래적인 외관의 미래 박물관까지, 두바이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건축물들이 여행객을 맞이한다. 럭셔리의 정점을 보여주는 아틀란티스 더 로열 호텔 또한 놓칠 수 없는 볼거리. 전통을 느끼고 싶다면 두바이 크릭과 알 파히디 역사지구에서 이국적인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진주 채취 어촌 마을에서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하기까지, 두바이의 역사는 그 자체로 흥미로운 여행 테마가 된다. 알 파히디 역사지구의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문화 이해 센터에서는 현지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하고 전통 에미라티 요리도 맛볼 수 있다. 알 신다가 박물관과 셰이크 사이드 알 막툼 하우스에서는 두바이의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럭셔리 호텔부터 가성비 좋은 호텔까지, 폭넓은 선택지를 자랑하는 두바이에서는 취향에 맞는 완벽한 휴식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2025년에는 주메이라 마르사 알 아랍을 비롯해 약 40개의 새로운 호텔이 문을 열 예정이다.  파도 모양의 주메이라 비치 호텔, 요트에서 영감을 받은 버즈 알 아랍과 함께 '해양 3부작'을 완성할  주메이라 마르사 알 아랍은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0개가 넘는 국적의 사람들이 어우러져 사는 두바이는 다양한 문화만큼이나 풍부한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1만 3천 개가 넘는 레스토랑과 카페에서는 전 세계의 맛을 경험할 수 있으며, 미쉐린 가이드에 선정된 레스토랑도 즐비하다. 2025년에는 아틀란티스 더 로열의 카르보네, 주메이라 마르사 알 아랍의 키라 등 세계적인 레스토랑들이 새롭게 문을 열 예정이다.

 

온화한 날씨 속에서 즐기는 다채로운 축제와 이벤트는 두바이 여행의 즐거움을 더한다. 두바이 쇼핑 페스티벌, 두바이 푸드 페스티벌, 두바이 디자인 위크 등 다양한 행사들이 겨울 시즌 동안 펼쳐진다.

 

지금 바로 두바이로 떠나 잊지 못할 겨울 여행을 만들어보자.

 

"빵 혀 핥기"에 소비자 불안 확산하자, 빵집 '덮개' 씌웠다!

 최근 SNS를 통해 확산된 한 어린아이의 '빵 혀 핥기' 영상이 사회적 공분을 일으킨 가운데, 해당 빵집이 자진하여 오픈형 진열 방식을 개선하고 모든 빵에 덮개를 씌우기로 결정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에 대한 논쟁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문제의 영상은 지난 12일 서울의 한 유명 빵집에서 촬영된 것으로, 한 남자아이가 진열된 빵에 혀를 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해당 영상은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고, 네티즌들은 아이의 행동뿐만 아니라 이를 방관한 보호자와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논란이 거세지자 해당 빵집은 16일부터 진열된 모든 빵에 덮개를 씌우는 등 자진 개선에 나섰다. 빵집 측은 "이번 일로 인해 고객님들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더욱 철저한 위생 관리로 고객님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사건을 계기로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가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올랐다. 오픈형 진열은 빵의 신선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고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먼지, 세균, 벌레 등 외부 오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실제로 많은 네티즌들은 "오픈된 빵은 먼지가 쌓일 것 같아 꺼려진다", "아이들이 만지거나 기침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아 불안하다" 등의 의견을 제시하며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하지만 현재 식품위생법상 빵을 오픈형으로 진열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 위생적인 취급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식품 위생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이번 논란과 관련하여 해당 빵집 관할 구청은 "해당 빵집에 위생 관리를 강화하도록 권고했으며, 앞으로도 빵을 오픈 진열하는 제과점에 대해 포장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청 관계자는 "법적으로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소비자 신뢰를 고려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빵 혀 핥기' 논란은 식품 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아진 관심과 함께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한 개선 요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빵집의 자진 개선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위생 관리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