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2025년, 두바이를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이유

 두바이 관광청이 2025년 새해를 맞아 겨울 여행객을 위한 특별한 매력을 공개했다. 

 

10월부터 4월까지 이어지는 두바이의 겨울은 온화한 기온 속에서 다채로운 경험을 만끽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다. 올겨울, 잊지 못할 여행을 선사할 두바이의 매력을 지금 바로 확인해보자.

 

세계 최고층 빌딩 버즈 칼리파부터 돛 모양의 상징적인 호텔 버즈 알 아랍, 미래적인 외관의 미래 박물관까지, 두바이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건축물들이 여행객을 맞이한다. 럭셔리의 정점을 보여주는 아틀란티스 더 로열 호텔 또한 놓칠 수 없는 볼거리. 전통을 느끼고 싶다면 두바이 크릭과 알 파히디 역사지구에서 이국적인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진주 채취 어촌 마을에서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하기까지, 두바이의 역사는 그 자체로 흥미로운 여행 테마가 된다. 알 파히디 역사지구의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문화 이해 센터에서는 현지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하고 전통 에미라티 요리도 맛볼 수 있다. 알 신다가 박물관과 셰이크 사이드 알 막툼 하우스에서는 두바이의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럭셔리 호텔부터 가성비 좋은 호텔까지, 폭넓은 선택지를 자랑하는 두바이에서는 취향에 맞는 완벽한 휴식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2025년에는 주메이라 마르사 알 아랍을 비롯해 약 40개의 새로운 호텔이 문을 열 예정이다.  파도 모양의 주메이라 비치 호텔, 요트에서 영감을 받은 버즈 알 아랍과 함께 '해양 3부작'을 완성할  주메이라 마르사 알 아랍은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0개가 넘는 국적의 사람들이 어우러져 사는 두바이는 다양한 문화만큼이나 풍부한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1만 3천 개가 넘는 레스토랑과 카페에서는 전 세계의 맛을 경험할 수 있으며, 미쉐린 가이드에 선정된 레스토랑도 즐비하다. 2025년에는 아틀란티스 더 로열의 카르보네, 주메이라 마르사 알 아랍의 키라 등 세계적인 레스토랑들이 새롭게 문을 열 예정이다.

 

온화한 날씨 속에서 즐기는 다채로운 축제와 이벤트는 두바이 여행의 즐거움을 더한다. 두바이 쇼핑 페스티벌, 두바이 푸드 페스티벌, 두바이 디자인 위크 등 다양한 행사들이 겨울 시즌 동안 펼쳐진다.

 

지금 바로 두바이로 떠나 잊지 못할 겨울 여행을 만들어보자.

 

'손흥민 패싱' 논란…AFC, 기준이 대체 뭐길래 이런 결과가

 아시아 축구계에 때아닌 논란이 불거졌다. 아시아 축구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현재 진행형인 아이콘, 손흥민이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선정하는 올해의 국제선수상 후보 명단에서 제외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시즌, 손흥민은 소속팀 토트넘 홋스퍼의 주장 완장을 차고 팀을 이끌며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정상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그의 프로 커리어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우승 트로피였으며, 아시아 선수로서 유럽 클럽 대항전 우승을 주장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성과로 평가받았다. 부상 등으로 인해 이전 시즌만큼의 폭발적인 득점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팀의 구심점이자 리더로서 일궈낸 값진 성과를 고려하면 이번 후보 제외는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아시아 내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AFC 올해의 선수' 부문 후보들의 면면을 보면 의구심은 더욱 커진다. 말레이시아 리그의 아리프 아이만이 자국 선수 최초로 후보에 오른 것은 주목할 만하지만, 그의 소속팀이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16강에서 탈락했고 말레이시아 대표팀 역시 월드컵 3차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가 과연 아시아 전체를 통틀어 최상위 3인에 들 만한 활약을 펼쳤는지는 물음표가 붙는다.손흥민이 빠진 국제선수상 후보 자리는 공교롭게도 '차세대 에이스' 이강인이 채웠다. 이강인은 지난 시즌 파리 생제르맹(PSG) 소속으로 유럽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포함한 트레블(3관왕)을 달성하는 화려한 이력을 쌓았다. 하지만 시즌 내내 확고한 주전으로 활약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팀의 압도적인 전력 덕을 본 측면이 크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이강인과 함께 후보에 오른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나 일본의 구보 다케후사 역시 각자의 리그에서 준수한 활약을 펼쳤지만, 팀의 주장으로서 유럽 대항전 우승이라는 명백한 결과물을 만들어낸 손흥민의 공헌도를 넘어섰다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결국 AFC의 이번 결정은 개인의 상징적인 성과나 팀 내에서의 리더십과 영향력보다는, 소속팀의 최종 성적이나 표면적인 타이틀 개수에 더 큰 비중을 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한국 축구는 2012년 이근호 이후 아시아 내 올해의 선수 맥이 끊겼고, 국제선수상은 손흥민과 김민재가 명맥을 이어왔다. 이제 팬들의 시선은 생애 첫 후보에 오른 이강인이 과연 수상의 영예를 안으며 선배들의 길을 이을 수 있을지에 쏠리고 있지만, 그와 별개로 아시아 최고의 별이 펼친 역사를 외면한 듯한 AFC의 선택은 두고두고 아쉬움과 논란을 남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