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아빠, 세금이 뭐야?" 한 마디에 꿀 먹은 벙어리? 이 책 한 권이면 OK

 '똑똑한 세금 이야기'는 온 가족이 함께 읽으며 세금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책이다.

 

어른도 잘 알기 힘든 세금에 대해 만화를 함께 첨부하여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 전 연령이 함께 세금에 관해 공부할 수 있다.

 

순서는 세금의 기초와 원리, 그리고 종류, 쓰임새를 설명한다. 

 

1장인 세금의 기초에서는 아이들이 뛰어노는 놀이터와 책을 읽으며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도서관이 세금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2장에서는 만약 세금이 없다면, 우리의 동네가 어떤 상황이었을 지도 설명해 준다. 이처럼 첫 장에서는 세금이 국가지도자와 국민을 잇는 연결 다리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장에서는 생활 곳곳에 숨은 세금을 알려주며, 소득세와 재산세, 부가가치세와 같은 어려운 용어를 쉽게 설명해 주며 이해를 돕는다. 4장에서는 세금이 쓰이는 곳과 정부 예산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체적으로 세금이 왜 필요한지와 납부하는 방법, 그리고 세금이 어디에 사용되는지까지 세금에 대한 모든 것을 총망라한 책이다. 나이별로 어떻게 세금을 내야 하는지도 알려주며, 기부를 통한 세금 감면의 방법까지 알려주는 이 책에는 당장 오늘부터 활용할 수 있는 꿀팁이 가득 기록되어 있다.

 

책의 저자는 세금 전문가들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갖고 이 책을 기술했다. '똑똑한 세금 이야기'와 함께라면 온 가족이 세금 박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신승근·조경희·허종 지음, 삼일인포마인 펴냄, 1만 3000원

 

쇼핑몰에 뜬 '늑대견' 3마리…입마개 갑론을박, 펫티켓 어디까지?

 최근 한 여성이 대형 복합 쇼핑몰에 대형견 세 마리를 데리고 나타나 온라인 커뮤니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문제는 '입마개'였다. 견주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통제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혹시 모를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며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펫티켓 논쟁에 다시 불이 붙은 모양새다.논란의 중심에 선 견주 A씨는 지난 10일 자신의 SNS에 "오랜만에 빵 사러 왔다"는 글과 함께 반려견 세 마리와 쇼핑몰을 방문한 영상을 올렸다. 해당 쇼핑몰은 반려동물 출입이 가능하며, 펫파크까지 갖춰져 있어 반려인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 영상 속 A씨는 양손에 목줄을 쥔 채, 입마개를 하지 않은 대형견 세 마리와 함께 쇼핑몰을 활보했다. "늑대 아니냐"는 시민의 질문에 "울프독이다"라고 답하는 모습도 담겼다.영상이 확산되자 누리꾼들은 입마개 착용 여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특히 쇼핑몰은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다는 점에서, 대형견, 특히 늑대 혈통인 '울프독'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입마개는 법적 의무가 아니더라도, 타인을 위한 배려"라거나 "돌발 상황 발생 시 통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졌다.하지만 견주 A씨는 "내 힘으로 충분히 통제 가능한 오전 11:14 2025-04-16목줄을 착용하고 있다"며 "맹견이 아닌 경우 입마개는 선택"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매너 차원에서 하라는 무언의 압박은 사절한다"며 불편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현행 동물보호법상 입마개 착용 의무가 있는 맹견은 도사견,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뿐이다. 울프독은 해당되지 않는다. 법적으로 A씨의 행동에 문제가 없다는 의미다. 하지만 법적인 문제와 별개로, 공공장소에서의 펫티켓 논란은 피할 수 없게 됐다.A씨의 해명에도 누리꾼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는데 과도한 비난"이라는 옹호론과 "법적 의무는 아니더라도, 타인에게 불안감을 주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는 비판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이번 논란은 반려동물 양육 인구 증가와 함께 펫티켓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법적 의무를 넘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안전을 고려하는 성숙한 펫티켓 문화 정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