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불이 아닌 빛으로! 제주들불축제, 새 역사를 쓴다

제주를 대표하는 축제인 ‘2025 제주들불축제’가 오는 3월 14일부터 16일까지 애월읍 새별오름 일대에서 열린다. 이번 축제는 환경 보존과 지속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삼아 기존의 오름 불놓기 대신 디지털 기술과 공연을 결합한 '가상 불놓기'로 전통을 재해석한다.  

 

'우리, 희망을 피우다'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환경을 지키면서도 제주의 목축문화를 상징하는 불의 전통을 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새해 희망을 기원하고, 관광객과 도민들에게 감동과 위로를 전할 계획이다.  

 

2025 제주들불축제는 환경파괴 논란으로 폐지된 주 행사인 ‘오름 불놓기’를 세계적인 음악가 양방언과 미디어아트 공연으로 대체한다. 양방언은 제주 출신의 재일 음악가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을 통해 희망과 도전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축제에서는 전통적인 불 축제의 일부를 유지하며 횃불대행진과 달집태우기 등의 행사가 진행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축제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축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새별오름은 상시 개방되어 방문객들이 오름 트레킹과 생태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이는 과거 오름 불놓기로 인해 제한되었던 자연 환경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축제는 3월 14일 삼성혈에서 희망불씨 채화로 시작된다. 같은 날에는 희망기원제와 체험형 프로그램이 열리며, 저녁에는 개막 공연 '희망, 틔우다'가 이어진다. 15일에는 '희망, 오르다'를 주제로 한 횃불대행진과 달집태우기가 축제의 하이라이트로 예정되어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가상 불놓기'는 전통과 현대 기술의 조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주목받고 있다.  

 

16일에는 청소년가요제와 특산물 할인 행사인 들불큰장이 열리며, 새해 희망을 상징하는 묘목 나눔 이벤트도 진행된다. 또한, 도내 1천여 명이 참여하는 풍물패 공연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희망 불씨 전달 퍼포먼스가 축제의 열기를 더할 예정이다.  

 

지난 제주들불축제에 참가했던 관광객들은 축제의 전통적 요소와 화려한 불놓기 행사를 높이 평가하며 “자연 속에서 경험하는 불의 향연이 인상적이었다”는 후기를 남겼다. 다만, 일부는 환경파괴 논란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한 관광객은 “불놓기의 장관은 압도적이었지만,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지속 가능한 방법이 필요하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이번 가상 불놓기와 생태체험 프로그램 도입은 이러한 피드백을 적극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김완근 제주시장은 “환경과 전통, 그리고 제주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지속 가능한 축제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2025 제주들불축제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첫해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축제는 전통을 재해석하고 환경을 지키려는 노력을 통해 지역 축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초선은 입 닫아!" 나경원 한마디에…국민의힘 내부 총질 시작됐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법제사법위원회 회의 중 야당 초선 의원을 향해 "초선은 가만히 있으라"고 발언한 것을 두고, 여당 내에서도 부적절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발언은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회의 진행 방식에 항의하는 과정에서 터져 나왔으며, 당내 초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공개적인 지적이 이어지며 논란이 확산되는 모양새다.국민의힘 초선인 정성국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그 발언만큼은 부적절했다"고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추미애 위원장의 독단적인 회의 운영에 대한 항의라는 상황 자체는 이해하지만, 표현 방식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국민의힘 초선이 44명으로 40%가 넘는다"며 "경험이 답은 아니다. 초선이라고 잘 모르고 3선이니까 잘 안다는 것에 동의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하며, 나 의원 스스로도 발언이 지나쳤음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또 다른 초선인 신동욱 최고위원 역시 "가급적이면 그런 표현은 적절치 않다"고 동의하면서도, 발언의 전체적인 맥락을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포탄이 막 날아다니는 상황에서 돌 던졌다고 비난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며, 추 위원장의 일방적인 위원회 운영과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의 모욕적인 발언이 선행되었음을 강조했다. 즉, 나 의원의 발언이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는 것이다.논란의 당사자인 나경원 의원은 사과를 거부하며 정면 돌파를 선택했다. 그는 SNS를 통해 "윤리위에 제소돼야 할 사람은 독단적으로 회의를 운영한 추미애 위원장과 극단적 민주당 의원들"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다른 라디오 방송에서는 "초선 의원들이 국회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모르고 눈에 띄기 위해 행동대장 역할을 하며 돌출 행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모르는 분들이 얘기해서 되겠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이번 논란은 5선의 중진인 나 의원과 국회에 갓 입성한 초선 의원들 사이의 시각차를 드러내는 동시에, 거대 야당의 공세에 맞서는 국민의힘 내부의 복잡한 기류를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