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춘천 레고랜드의 대박 조합 "눈 속에서 레고와 놀자"

강원 춘천 레고랜드가 겨울 시즌을 맞아 새로운 눈놀이 공간 '홀리데이 스노우 플레이'를 개장했다. 해당 공간은 레고랜드의 인기 놀이기구 중 하나인 '파이어 아카데미' 구역에 위치하며, 레고 시티 테마존 내에서 겨울철 놀이와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꾸며졌다.

 

레고랜드는 이번 겨울방학을 맞아 인공눈 제조기를 설치하여 330㎡(약 100평) 규모의 눈놀이장을 완성했다. '홀리데이 스노우 플레이'에서는 대형 레고(LEGO) 소프트 브릭을 활용한 창의적인 놀이와 눈썰매를 타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액티비티가 준비되어 있다. 특히, 눈썰매는 어린이들과 함께 체험할 수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레고랜드는 겨울철에도 아이들과 어른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놀이를 제공하여, 춥고 긴 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놀이 후에는 레고 시티 구역의 레스토랑에서 따뜻한 겨울 간식을 즐길 수 있다. 버섯 크림 스프, 어묵, 핫바, 소시지 등 겨울철에 맞는 다양한 메뉴가 제공되어 놀이 후 허기를 달랠 수 있다. 이외에도 커피와 함께 몸을 녹일 수 있어 추운 날씨에도 편안한 분위기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레고랜드는 이뿐만 아니라, 겨울 분위기를 한껏 느낄 수 있도록 레고 시티 광장에 북유럽 산타 마을 테마의 산타 하우스를 설치했다. 산타 하우스는 인생 사진을 찍기에 좋은 포토존으로, 가족과 함께 행복한 추억을 남길 수 있는 장소로 꾸며졌다. 이를 통해 레고랜드를 찾은 방문객들은 더욱 풍성한 겨울 테마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레고랜드는 올 겨울방학 기간 동안 ‘윈터 시즌 패스’를 판매 중이다. 이 패스는 겨울 시즌 동안 무제한으로 레고랜드를 방문할 수 있는 시즌권 티켓으로, 3월 16일까지 이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은 겨울철 내내 레고랜드의 다양한 겨울 테마와 놀이를 한껏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레고랜드 관계자는 "추운 날씨에도 레고랜드를 찾아주시는 고객들을 위해 실내외를 넘나드는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며, "사계절 내내 레고랜드를 찾는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계절별 테마와 이벤트, 체험 공간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레고랜드는 앞으로도 겨울뿐만 아니라 각 계절에 맞는 다양한 테마를 제공하여 더욱 다채로운 즐길 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홀리데이 스노우 플레이’는 겨울철에도 레고랜드를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된다. 어린이들이 겨울철에도 안전하고 즐겁게 놀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대형 레고 브릭과 겨울철 액티비티를 결합해 레고랜드의 특별한 겨울을 더욱 빛내고 있다.

 

 

 

 

 

이재명 정부, 'K컬처'에 5.7조원 올인…'국력 5강' 향한 역대급 베팅 시작됐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 100일을 맞아 'K이니셔티브'를 국가 핵심 비전으로 선포하며 '국력 5강'을 향한 야심찬 항해를 시작했다. 과거의 모방 국가 이미지를 벗고, 문화와 산업 전반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K팝과 드라마로 지펴진 한류의 불씨는 이제 K푸드, K뷰티, K리테일 등 산업 전반으로 옮겨붙으며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특히 K푸드의 약진은 괄목할 만하다. 작년 라면, 과자, 냉동김밥 등의 수출액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으며, 올해는 사상 최초로 연간 수출액 100억 달러 돌파가 확실시된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해외에서 품귀 현상을 빚을 정도이며, 농심 '신라면', 오리온 '초코파이' 등도 각국에서 브랜드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맛뿐만 아니라, SNS 챌린지 같은 문화 현상과 결합한 결과다.K뷰티의 성과 역시 눈부시다. 작년 화장품 수출액은 102억 달러를 넘어서며 프랑스,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출국으로 도약했다. 과거 중국 시장에 편중됐던 구조에서 벗어나 미국, 일본, 유럽, 중동 등으로 시장을 다변화하는 데 성공한 것이 주효했다. 아모레퍼시픽, 에이피알 등 대기업은 물론, 창의적인 중소·인디 브랜드들이 탄탄한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이러한 K브랜드의 글로벌 확산 뒤에는 이마트, 롯데마트, GS25, CU 같은 K리테일 기업들의 숨은 공로가 크다. 이들은 '전문무역상사'로서 해외에 동반 진출해, 수출 경험이 부족한 수많은 국내 중소기업들의 판로를 개척해주는 '수출 첨병'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최근에는 쿠팡, 무신사 등 온라인 플랫폼까지 가세하며 K제품의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하지만 이런 폭발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업계에서는 국가별로 상이하고 복잡한 통관·검역 절차 간소화, R&D 지원 확대, 기능성 화장품 광고 문구 같은 낡은 규제 완화 등 정부 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에 이재명 정부는 내년도 K컬처 관련 예산을 5조 7천억 원으로 대폭 증액하고, 금융 지원과 연관 산업 육성을 통해 '문화수출 50조 원 시대'를 열겠다며 강력한 지원 의지를 밝혔다. 기업의 혁신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너지를 내며 'K이니셔티브'가 대한민국을 새로운 성장 시대로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