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게 한복이라고?" 호주 전쟁기념관의 '황당한 문화 왜곡'

 호주의 대표적인 국가기념관인 전쟁기념관이 중국풍 의상을 한국 전통의상으로 잘못 전시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수차례 항의에도 불구하고 이를 시정하지 않아 문화 왜곡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0일 SNS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전쟁기념관은 명백한 중국풍 의상에 태극기를 함께 전시하며 '한국 전쟁 당시 어린이 전통의상'이라는 설명을 달아놓았다. 해당 의상은 깃과 소매의 재단 방식, 색상 조합, 자수 등 모든 면에서 한국 전통 한복과는 거리가 먼 중국식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이 문제는 지난해부터 여러 차례 지적됐다. 많은 한국인 관광객들이 이를 발견하고 SNS를 통해 제보했으며, 서 교수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기념관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 현지 호주 한인들도 적극적으로 항의 활동에 동참했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전시물은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해당 전쟁기념관은 호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가기념관일 뿐만 아니라, 매년 수많은 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주요 관광지이기도 하다. 잘못된 정보가 그대로 방치될 경우, 전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전통문화가 왜곡되어 전달될 우려가 크다.

 

서 교수는 "최근 중국이 한복을 자국의 문화유산이라고 주장하며 문화 공정을 시도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전통 의상은 '한복'이며, 전시된 의상은 한복과는 전혀 다른 양식"이라고 설명하며, 호주 전쟁기념관 측의 신속한 시정을 촉구했다.

 

이어 "올해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복 홍보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며,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잘못된 한복 정보를 바로잡고,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복의 세계화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문화적 오류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조국의 '2030 극우론' vs 이낙연의 '수축세대 공정론', 정면 충돌

 이낙연 새로운미래 상임고문이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20·30 극우화' 언급을 겨냥해 "20·30은 과정의 공정을 특히 중시하는 세대"라고 지적했다. 이는 20·30 세대가 처한 특수한 시대적 환경을 옹호하며 조 전 대표의 진단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됐다.앞서 조 전 대표는 자신의 사면·복권에 대한 20·30의 높은 반대 여론과 관련해 "20·30 남성이 70대와 비슷한, 이른바 극우 성향을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이후 SNS에 '서울 잘사는 청년은 극우'라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며 자신의 주장을 이어갔다. 자녀 입시 비리 문제에 대한 젊은 세대의 비판을 '20·30 남성의 극우화' 탓으로 돌린다는 비판이 일각에서 나왔다.이러한 '20·30 극우화' 주장에 대해 이 고문은 SNS를 통해 반박에 나섰다. 그는 "20·30을 말하려면 그 특별한 시대 배경을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며, 이들이 민주화·선진화 시대에 태어나 선진사회의 의식을 지녔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이 고문은 이들이 경제적으로는 '수축 시대'를 살고 있다는 점을 문제의 핵심으로 짚었다. 과거 '팽창 시대'와 달리 기회와 파이가 모두 줄어든 '수축 시대'에는 경쟁에서 지면 자기 몫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정의 '공정'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으며, 과정이 공정하지 못하면 결과에 승복하기 어려워하는 인식이 20·30 세대에 특별히 강해진 것은 필연적 귀결이라고 덧붙였다.국민의힘 주진우 의원 또한 조 전 대표를 겨냥해 "감옥에서 성찰했다더니 겨우 생각한 것이 청년 극우 몰이냐"라고 직격했다. 주 의원은 "입시 비리로 청년 인생 망쳐놓고 청년 탓하는 것이 조국답다"고 꼬집으며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