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프랑스 시골 감성 담은 '럭셔리 가방'...김세정도 '픽'했다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롱샴(Longchamp)이 2025년 여름 시즌을 맞아 프랑스 시골의 목가적인 삶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컬렉션을 공개했다. 자연의 생동감과 전원생활의 여유로움을 담아낸 이번 컬렉션은 브랜드의 새로운 도전을 보여준다.

 

이번 컬렉션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과감한 컬러 팔레트다. 비트루트에서 추출한 듯한 선명한 레드 컬러와 아티초크 잎사귀를 연상시키는 그린 컬러를 중심으로, 채소밭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색감을 가방과 의류 전반에 적용했다. 특히 브랜드의 상징적인 제품인 '르 로조(Le Roseau)' 라인은 이러한 자연주의적 감성을 한층 더 강조했다.

 

1993년 첫 선을 보인 르 로조 라인은 이번 시즌에 클래식한 깅엄 체크 패턴을 도입하고 하얀 꽃 자수로 포인트를 준 데님 소재를 활용해 시골 정원의 정취를 담아냈다. 가죽 소재에도 변화를 주어 진저, 바크, 루트 등 자연의 색조를 표현했으며, 브랜드의 시그니처인 뱀부 토글은 잘 익은 옥수수를 연상시키는 은은한 골드 톤으로 재해석됐다.

 


실용성도 놓치지 않았다. XL 사이즈의 토트백은 도시 생활자들의 일상은 물론, 주말 전원생활을 즐기는 이들의 needs까지 충족시킨다. 미니멀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새롭게 선보이는 크로스바디 버전의 르 로조는 실용성과 세련미를 동시에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르 로조 라인은 시대의 변화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하면서도 브랜드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켜왔다. 할리우드 스타 조 샐다나, 영국의 패션 아이콘 수키 워터하우스부터 한국의 김세정, 중국의 리이통까지 글로벌 셀러브리티들의 사랑을 받으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쌓아왔다.

 

이번 컬렉션은 현대인들의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갈망과 자연 회귀 본능을 정확히 포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도시적 세련미와 전원의 여유로움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디자인은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럭셔리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6개월째 빵값 폭주! 알고 보니 '이것' 때문?

 국민 간식 빵값이 심상치 않다. 무려 6개월 연속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유명 유튜버 슈카월드의 '990원 빵' 판매가 화제가 되면서, 과연 빵의 적정 가격은 얼마인지, 그리고 왜 한국의 빵값이 유독 비싼지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6.5%나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3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SKT 통신 요금 인하 효과를 제외한 물가상승률(2.3%)과 비교해도 두 배 이상 높다. 빵 가격 상승률이 이처럼 가파른 것은 2023년 7월(8.6%) 이후 2년 1개월 만이다.빵값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는 1% 미만의 안정세를 보였으나, 12월 3.3%, 올해 1월 3.2%, 2월 4.9%로 오르더니 3월부터는 6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3월 6.3%로 급등한 이후 4~7월에는 각 6.4%를 유지했다.이러한 빵값 상승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빵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으로 2023년 9월 작년 동월 대비 45.5%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안정세를 찾았지만, 여전히 전쟁 이전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달걀 가격은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올라 8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8.0%나 뛰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시작된 출고가 인상 누적과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 인건비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한편, 슈카월드의 990원 빵은 소비자들에게 환영받았지만, 일부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빵집들이 과도한 이윤을 남기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실제로 국내 빵값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공주대 산학협력단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29로, 미국(125), 일본(120), 프랑스(118)보다 높았다. 100g당 평균 빵 가격 또한 한국(703원)이 프랑스(609원), 미국(588원), 호주(566원)보다 비쌌다.보고서에는 국내 베이커리 전문점의 수익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내용도 담겼다. 매출은 2020년 약 6조 240억원에서 2022년 약 7조 5천700억원으로 25.7%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700억원에서 4천700억원으로 75.3%나 급증했다.양산빵 시장 역시 확대 추세다. 국내 양산빵 판매액은 2018년 2조 8천372억원에서 2022년 3조 9천589억원으로 연평균 8.7% 증가해, 전체 식품 국내 판매액 증가율(6.0%)을 상회했다. 특히 1kg당 생산 단가가 2020년 2천9원에서 2022년 4천534원으로 오르는 동안, 판매 단가는 2천485원에서 5천591원으로 뛰면서 생산 단가와의 격차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는 설탕·계란·우유 등 주요 원재료가 가공·유통되는 과정에서 시장 경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양산빵 소매 시장에서 SPC삼립의 매출액 점유율이 80%에 달해 사실상 독점력이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됐다.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4월부터 농심, 오리온,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빵·과자류 출고가 인상 과정에서의 담합 여부를 조사 중이며,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의 계란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에 착수했다. 빵값 고공행진의 배경에 구조적인 문제와 담합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계 당국의 철저한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줄 해법이 마련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