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프랑스 시골 감성 담은 '럭셔리 가방'...김세정도 '픽'했다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롱샴(Longchamp)이 2025년 여름 시즌을 맞아 프랑스 시골의 목가적인 삶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컬렉션을 공개했다. 자연의 생동감과 전원생활의 여유로움을 담아낸 이번 컬렉션은 브랜드의 새로운 도전을 보여준다.

 

이번 컬렉션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과감한 컬러 팔레트다. 비트루트에서 추출한 듯한 선명한 레드 컬러와 아티초크 잎사귀를 연상시키는 그린 컬러를 중심으로, 채소밭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색감을 가방과 의류 전반에 적용했다. 특히 브랜드의 상징적인 제품인 '르 로조(Le Roseau)' 라인은 이러한 자연주의적 감성을 한층 더 강조했다.

 

1993년 첫 선을 보인 르 로조 라인은 이번 시즌에 클래식한 깅엄 체크 패턴을 도입하고 하얀 꽃 자수로 포인트를 준 데님 소재를 활용해 시골 정원의 정취를 담아냈다. 가죽 소재에도 변화를 주어 진저, 바크, 루트 등 자연의 색조를 표현했으며, 브랜드의 시그니처인 뱀부 토글은 잘 익은 옥수수를 연상시키는 은은한 골드 톤으로 재해석됐다.

 


실용성도 놓치지 않았다. XL 사이즈의 토트백은 도시 생활자들의 일상은 물론, 주말 전원생활을 즐기는 이들의 needs까지 충족시킨다. 미니멀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새롭게 선보이는 크로스바디 버전의 르 로조는 실용성과 세련미를 동시에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르 로조 라인은 시대의 변화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하면서도 브랜드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켜왔다. 할리우드 스타 조 샐다나, 영국의 패션 아이콘 수키 워터하우스부터 한국의 김세정, 중국의 리이통까지 글로벌 셀러브리티들의 사랑을 받으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쌓아왔다.

 

이번 컬렉션은 현대인들의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갈망과 자연 회귀 본능을 정확히 포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도시적 세련미와 전원의 여유로움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디자인은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럭셔리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혼자서 악플 40개…'이태원 참사' 3년간 끈질기게 괴롭힌 상습 악플러들의 정체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 사회는 온라인상의 끈질긴 혐오 발언이 소수의 조직적인 '댓글 부대' 혹은 극성스러운 개인 몇몇의 소행일 것이라 짐작했다. 그러나 지난 3년간의 유튜브 댓글 데이터를 심층 분석한 결과는 이러한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훨씬 더 충격적인 현실을 드러냈다. 악성 댓글을 작성한 이들은 소수가 아닌, 5만 명에 육박하는 다수의 개인이었다.2022년 10월 29일 참사 발생 직후부터 2025년 6월 10일까지, 68개 언론사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이태원 참사' 관련 영상 929건에 달린 댓글은 총 26만 7천여 개. 딥러닝 AI 분석을 통해 이 중 6만 4,388건이 명백한 악성 댓글임을 확인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 혐오 발언들을 쏟아낸 유튜브 계정이 무려 4만 9,461개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는 특정 세력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평범한 이용자들이 혐오 발언 생산에 광범위하게 가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들 중 8,777명은 2회 이상 상습적으로 악성 댓글을 작성했으며, 한 명은 무려 40개의 혐오성 댓글을 다는 집요함을 보이기도 했다.데이터가 밝힌 6만여 개 혐오의 중심에는 "놀러 가서 죽은 것"이라는 조롱과 비난이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 댓글 데이터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단어는 '놀다가', '죽은', '사고', 그리고 비웃음을 의미하는 'ㅋㅋ'였다. 이 단어들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놀러 가서 죽은 사고 ㅋㅋ'라는 하나의 문장으로 귀결됐다. 이는 희생자들이 스스로 위험을 자초했으므로 추모나 동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이 악플러들 사이에 팽배했음을 보여준다.시간의 흐름에 따라 혐오의 양상과 공격 대상은 교묘하게 변화했다. 참사 초기인 2022년에는 '시민의식 부재' 등을 거론하며 희생자 개인에게 책임을 돌리는 댓글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유가족들이 협의회를 결성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2023년과 2024년, 공격의 화살은 유가족에게로 향했다. 특히 "세월호처럼 돈 뜯으려 한다", "시체팔이" 등 세월호 참사와 엮어 유가족의 활동을 폄훼하고 금전적 보상을 노린다는 식의 2차 가해가 극성을 부렸다.2025년에 들어서는 혐오가 더욱 극단적인 형태로 진화했다. '북한의 지령을 받은 민주노총의 소행', '민주당이 기획한 테러' 등 참사가 외부 세력에 의해 의도적으로 기획되었다는 '음모론'이 전체 악성 댓글의 2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급증했다. 이는 참사의 본질을 흐리고 정치적 갈등을 유발하려는 의도가 담긴, 가장 악의적인 형태의 2차 가해라 할 수 있다.한 상습 악플러는 "프로급 자해공갈단"이라며 유가족을 비난했고, 또 다른 이는 "소복은 왜 입었나, 할로윈 코스프레하다 죽은 가족이라 그런가"와 같이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조롱을 퍼붓기도 했다. 이처럼 데이터 분석 결과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재난 혐오의 민낯과 그 진화 과정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