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삼척의 르네상스 시대! 힙한 여행지로 떠오른 이유

강원도 삼척은 고대의 향가와 전통적 매력을 지닌 문화유산을 품은 도시로, 최근 교통과 관광 인프라의 발전을 통해 재조명 받고 있다. 삼척은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 ‘헌화가’의 문학적 배경이 된 지역으로, 해룡이 변신하여 절세미녀를 유혹하는 장면이 담긴 작품의 중요한 배경이다. 최근 삼척은 동해중부선(KTX급 설계)의 개통으로 교통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으며, 향후 두만강까지 이어지는 동해선은 삼척을 주요 교통의 중심지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삼척의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한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삼척은 동해바다와 백두대간이 가까운 지리적 특성 덕분에 자연경관이 다채롭고, 바다와 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삼척해수욕장은 특히 겨울바다의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야간에는 다양한 색깔의 파도가 백사장과 산책로를 물들이며 환상적인 장관을 연출한다. 해파랑길과 동해선은 이를 따라 펼쳐지는 길로, 바다와 산을 넘나드는 여행을 제공한다.

 

 

 

또한, 삼척에는 다양한 역사적 유적지와 관광지가 많다.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집필한 천은사, 삼척의 3대 국보인 죽서루와 환선굴·대금굴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죽서루는 자연 암반을 기초로 지어진 구조로, 그 아름다운 경치와 함께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에서도 그 이름을 빛낸 바 있다. 이외에도 삼척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관광지와 역사적 유산을 보유하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내륙의 명소로는 죽서루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유적지와 자연경관이 존재한다. 환선굴과 대금굴은 5억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동굴로, 그 내부에서 다양한 석순과 기암절벽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삼척의 자연은 웰니스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활기치유의 숲과 덕풍계곡은 산림치유와 온천, 스파 등을 제공하며, 여행자들에게 힐링을 선사한다.

 

삼척은 최근 ‘핫플레이스’로 떠오르며, 그 매력은 단순히 자연경관에 그치지 않는다. BTS의 앨범 재킷 촬영지로 유명한 맹방-덕산 지역은 방탄소년단 팬들 사이에서 ‘성지순례’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삼척은 미디어 아트 뮤지엄인 이사부독도기념관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재를 갖추고 있어 예술과 역사를 즐길 수 있는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삼척은 과거 폐광의 도시에서 발전을 거듭하며 르네상스를 꿈꾸고 있다. 현재 삼척은 전통적인 역사적 가치와 현대적인 관광 인프라가 결합된 ‘관광·문화 백화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철도와 관광지의 발전으로 더욱 매력적인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삼척은 또한 웰니스 관광지로서의 가능성도 커지고 있어, 다양한 관광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곳은 자연과 역사, 문화가 어우러진 곳으로, 여행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체코 원전 따려다 웨스팅하우스에 '영혼까지 검증' 당한 한수원?

 올해 초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한전)이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을 종결하며 맺은 합의문의 구체적인 내용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원전업계에 뜨거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차세대 원전 독자 수출 시 웨스팅하우스의 검증을 받아야 한다는 등의 조건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굴욕적 합의'라는 비판과 함께 '당시로서는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반박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지난 1월 16일 체결된 이른바 '글로벌 합의문'에는 우리나라 기업이 소형모듈원전(SMR)을 비롯한 차세대 원전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해외에 수출할 경우, 웨스팅하우스의 기술 자립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는 조건이 명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국형 원전의 독자적인 해외 진출에 제약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나아가 원전 1기당 6억 5천만 달러(약 9천억 원) 규모의 물품 및 용역 구매 계약과 1억 7천 5백만 달러(약 2천 4백억 원)의 기술 사용료를 웨스팅하우스에 지불해야 한다는 조항까지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일각에서는 과도한 비용 지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웨스팅하우스와의 법적 분쟁은 2022년 10월, 미국 연방법원에 지재권 침해 소송이 제기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한수원이 체코 두코바니 원전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과정에서도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은 최대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당시 합의 내용은 상호 비밀유지 약속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번에 구체적인 조건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증폭된 것이다.이러한 합의 조건에 대해 일각에서는 한국 원전 기술의 독립성을 훼손하고 웨스팅하우스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수용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수출을 지향하는 한국 원전 산업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그러나 원전업계 일부에서는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이 해결되지 않는 한, 한국 원전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는 주장이다. 분쟁을 정리하지 않고서는 사실상 원전 수출의 물꼬를 틀 수 없었으며, 애초에 모든 기자재를 국내 기업에서만 조달하는 것 또한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기에 이번 합의가 마냥 불리한 조건으로만 볼 수 없다는 반론이다. 당시로서는 국내 원전 수출의 활로를 열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것이다.이번 합의를 둘러싼 논란은 한국 원전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익을 극대화하면서도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한국 원전 산업의 숙제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