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넷플릭스발 대참사'… 오징어게임 모바일 '충격적인 민낯' 공개

 넷플릭스가 야심차게 선보인 '오징어게임: 모바일서바이벌'이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12월 17일 출시된 이 게임은 '오징어게임 시즌2' 공개에 맞춰 선보인 32인 서바이벌 게임으로, 출시 2주 만에 다운로드 수 100만 건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 게임의 가장 큰 강점은 원작의 DNA를 충실히 계승했다는 점이다. 긴장감 넘치는 배경음악부터 성우들의 생동감 있는 음성 연기, 그리고 드라마에서 봤던 그대로의 의상과 세트장까지, 원작의 분위기를 완벽하게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 '유리 다리' 등 드라마의 대표적인 게임들이 모바일 환경에 맞게 재해석되어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하지만 게임성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적지 않다. 원작의 단순한 게임성을 그대로 가져온 탓에 반복적인 플레이가 지루함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나 추가된 오리지널 미니게임들은 'Fall Guys'와 같은 기존 인기 서바이벌 게임의 아류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래픽 품질이나 맵 디자인 측면에서도 경쟁작들에 비해 현저히 뒤처진다는 평가다.

 


특히 치명적인 문제는 기술적 완성도다. 서바이벌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조작감이 미흡하고, 캐릭터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 몰입감을 해친다. 잦은 네트워크 오류와 게임 튕김 현상은 유저들의 불만을 사고 있으며, 각종 버그와 오류는 게임의 전반적인 완성도를 의심케 한다.

 

이는 넷플릭스의 게임 사업 전략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넷플릭스는 구독자 이탈을 막기 위해 게임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2023년 자체 AAA급 게임 스튜디오 폐쇄 후 캐주얼 게임 위주로 전략을 수정했다. 'GTA 트릴로지'나 '풋볼 매니저' 같은 검증된 외부 IP의 구독 서비스는 성공했지만, 자체 개발 게임들은 아직 '홍보용 부가상품'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현재 구글 플레이 액션·어드벤처 카테고리에서 1위를 기록 중이지만, 이는 원작의 인기에 기댄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넷플릭스가 진정한 게임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단순히 IP를 활용하는 것을 넘어, 게임 자체의 완성도와 재미를 높이는 데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노재팬은 옛말'... 일본제품 품절 대란에 발동동 구는 소비자들

 한때 불매운동의 중심에 섰던 다이소가 이제는 당당히 일본 제품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다이소는 지난 7일부터 자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본제 상품 모음전'을 공개하며 변화된 소비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서울 강남구의 한 다이소 매장에서 만난 40대 주부 박씨는 "일본제 커피 필터를 애용한다"며 "이제 매장 내 일본 제품 전용관이 생겨 쇼핑이 더욱 편리해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다이소 매장 곳곳에는 일본 수입상품존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주방용품부터 청소·욕실용품, 수납용품, 문구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일본산 제품들이 진열되어 있다.다이소 관계자는 "자사 앱에서 '일본제'가 인기 검색어 순위권에 자주 오르는 것을 확인하고 이번 기획전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자레인지 용기, 수저 케이스, 밥주걱, 수세미 등 일부 인기 상품은 이미 품절 상태로, 재입고 예정 알림이 뜰 정도로 소비자 반응이 뜨겁다.이는 2019년 노재팬 운동 당시와는 180도 다른 양상이다. 당시 다이소는 일본 기업과의 지분 관계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0% 이상 급감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2023년 12월 박정부 회장이 일본 다이소의 지분 34%를 5000억원에 전량 인수하면서 '일본 기업' 논란을 완전히 해소했다.최근 일본 브랜드들의 국내 실적도 호조세다. 유니클로는 지난해 6년 만에 연매출 1조원을 돌파했고, 도요타는 수입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상황에서도 14.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일본 외식 브랜드의 한국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이지평 한국외대 융합일본지역학부 특임교수는 "일본 관광 수요 증가로 반일 정서가 크게 완화됐다"며 "특히 엔저 현상의 장기화로 수입업자들이 일본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예스재팬' 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