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산의 역습"...신세계 센텀시티가 롯데 본점 '완벽 제압'했다

 2024년 국내 백화점 업계의 최종 성적표가 공개됐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연간 거래액 3조3269억원을 기록하며 8년 연속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롯데백화점 잠실점이 '3조 클럽'에 안착하며 선두와의 격차를 좁히고 있다는 점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5대 백화점이 운영하는 전국 68개 백화점의 2024년 총거래액은 39조7904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70개였던 백화점 수는 롯데 마산점 폐점과 현대 부산점의 쇼핑몰 전환으로 68개로 감소했다.

 

업계 판도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는 신세계 센텀시티점의 약진이다. 부산의 대표 쇼핑 랜드마크로 자리잡은 센텀시티점은 롯데 본점을 제치고 3위 자리를 확고히 했다. 두 백화점의 거래액 차이는 500억원 수준으로, MZ세대를 겨냥한 과감한 변신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K-패션과 뷰티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워 젊은 소비자층과 외국인 관광객을 성공적으로 공략했다.

 


반면 한때 37년간 업계 1위를 지켰던 롯데 본점의 하락세는 지속됐다. 명동 상권 침체와 지속적인 리뉴얼 공사의 여파로 4위에 머물렀다. 특히 롯데의 텃밭이었던 부산에서 경쟁사 점포에 밀린 것은 상징적인 패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백화점 업계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됐다. 상위 4개 점포가 전체 거래액의 25%를 차지했으며, 연간 거래액 1조원이 넘는 12개 점포의 합산 거래액은 약 21조원으로 전체의 53%에 달했다. 반면 하위 10개 점포의 합산 매출은 고작 1조3000억원대에 그쳤다.

 

특히 갤러리아(5개)와 AK플라자(4개)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모든 점포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으며, AK플라자 분당점은 14.1%의 거래액 감소로 최대 낙폭을 보였다. 대한상의의 '2025년 유통산업 전망 조사'에 따르면 올해 백화점 업계 성장률은 0.3%에 그칠 것으로 예측돼,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금값, 그야말로 미쳤다… 3일 연속 사상 최고치, 대체 어디까지 오르나

 국제 금 시세가 무서운 기세로 랠리를 펼치며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으로 투자 수요가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현지시간 3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장보다 1.21% 급등한 온스당 3,635.5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최근 월물 기준으로 3거래일 연속 이어진 사상 최고가 경신으로, 올해 들어서만 37% 폭등하며 파죽지세의 상승 랠리를 이어가는 모습이다.금 현물 가격 역시 역대 최고치를 다시 한번 돌파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은 미 동부시간 오후 2시 25분 기준 온스당 3,576.59달러로 전장 대비 1.2% 올랐으며, 장중 한때 3,578.50달러까지 치솟으며 종전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이러한 금값의 초강세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주요 선진국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깊은 우려가 꼽힌다. 각국 정부의 부채 문제로 글로벌 채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가장 확실한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세계 중앙은행들의 움직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 분석가들을 인용해, 세계 중앙은행들이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미국 국채의 비중을 줄이고 금 매입을 공격적으로 늘린 것이 최근의 금값 상승을 견인한 핵심 동력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 건전성과 중앙은행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겹치며 미 국채 시장은 장기물을 중심으로 수익률이 급등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채권 수익률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미국의 노동 시장 약화 신호 역시 금값 강세에 기름을 부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구인 건수는 718만 1천 건으로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시장 전망을 크게 하회했다. 이는 경기 둔화의 신호로 해석되어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증폭시켰다. 금리 선물시장은 0.25%포인트 금리 인하 확률을 95%까지 반영하고 있으며, 금리 인하는 이자가 없는 자산인 금의 투자 매력도를 더욱 높이는 요인이다.제이너메탈스의 피터 그랜트 선임 금속 전략가는 "금값 랠리가 이어질 여지가 충분하다"며 "중단기적으로 온스당 3,600~3,8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현재의 추세라면 내년 1분기에는 4,000달러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한편, 금과 함께 대표적 귀금속인 은 가격 역시 전장 대비 1.1% 상승한 온스당 41.34달러를 기록하며 동반 강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