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세계 미술계 거장들이 한국으로 몰려온다'... 2025년 미술계 대격변 예고

 2025년 국내 미술계가 역대급 전시 라인업으로 미술 애호가들의 기대감을 한껏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호암미술관이 선보일 두 개의 대형 전시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4월에 공개될 '겸재 정선'전에서는 10년 만에 국보 '금강전도'를 만날 수 있으며, 8월에는 세계적 조각가 루이스 부르주아의 대규모 회고전이 열린다.

 

리움미술관은 2월 피에르 위그전을 시작으로, 9월에는 현대미술의 대표주자 이불의 대규모 서베이전을 준비 중이다. 특히 3월에 열리는 현대미술 소장품전에서는 9년 만에 공개되는 로댕의 '칼레의 시민'을 비롯해 다수의 미공개 조각 작품들이 전시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에서 극사실주의 조각가 론 뮤익과 '물방울 화가' 김창열의 전시를, 과천관에서는 한국미술 100년사를 아우르는 대규모 전시를 선보인다. 특히 이건희컬렉션과 미술관 소장품이 어우러진 한국 근현대미술사 전시는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시립미술관과 아트선재센터도 강명희, 하종현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전시를 준비 중이다. 국제갤러리는 하종현, 루이스 부르주아 등 세계적 거장들의 전시를, 갤러리현대는 신성희, 김민정 등 한국 현대미술의 핵심 작가들의 개인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9월에는 프리즈 서울과 키아프 서울이 코엑스에서 동시 개최되어 서울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합하자"며 한복 제안했지만…'상복'으로 응답한 野, 정면충돌 예고

 이재명 정부의 첫 정기국회가 개회 첫날부터 전례 없는 대치 국면을 연출하며 향후 100일간의 격돌을 예고했다.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개회식은 입법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채워졌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따라 화합을 상징하는 한복을 입고 참석한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검은 정장과 넥타이의 상복 차림으로 본회의장에 들어서며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국민의힘 의원들의 가슴에는 '의회 민주주의'라고 적힌 근조 리본이 달려, 이들의 복장이 단순한 항의 표시를 넘어 현 정권에 대한 일종의 '사망 선고'임을 분명히 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의회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이재명 정권의 독재 정치에 맞서자는 심기일전의 취지"라고 설명하며, 이번 정기국회를 강력한 대여 투쟁의 장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이는 "격한 갈등 속에서도 화합과 통합의 의지를 보여주자"며 한복 착용을 제안했던 우 의장의 정치적 제안을 정면으로 걷어찬 행위로, 협상이나 타협의 여지를 시작부터 지워버린 셈이다.상복과 한복이라는 극단적인 드레스코드는 향후 100일간 펼쳐질 여야의 혈투를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민주당은 '내란 종식과 국가 정상화'를 기치로 내걸고 검찰개혁과 특검법 개정안 등 핵심 개혁 법안들을 강행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를 '거대 야당과 이재명 정부의 독주'로 규정하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하겠다는 각오로 맞불을 놓고 있다.이처럼 얼어붙은 분위기 속에서 우 의장은 "갈등과 대립 속에서 할 일을 하는 게 정치"라며 "사회를 분열시키지 않는 국회 모습을 만들어야 한다"고 거듭 협치를 호소했다. 하지만 이미 서로를 향해 칼을 빼 든 여야의 모습 앞에서 그의 당부는 공허하게 들릴 뿐이었다. 입법, 예산, 인사청문회 등 모든 현안에서 한 치의 양보 없는 충돌이 불가피해 보이면서, 대한민국 국회는 개회와 동시에 '100일 전쟁'의 포성을 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