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세계 미술계 거장들이 한국으로 몰려온다'... 2025년 미술계 대격변 예고

 2025년 국내 미술계가 역대급 전시 라인업으로 미술 애호가들의 기대감을 한껏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호암미술관이 선보일 두 개의 대형 전시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4월에 공개될 '겸재 정선'전에서는 10년 만에 국보 '금강전도'를 만날 수 있으며, 8월에는 세계적 조각가 루이스 부르주아의 대규모 회고전이 열린다.

 

리움미술관은 2월 피에르 위그전을 시작으로, 9월에는 현대미술의 대표주자 이불의 대규모 서베이전을 준비 중이다. 특히 3월에 열리는 현대미술 소장품전에서는 9년 만에 공개되는 로댕의 '칼레의 시민'을 비롯해 다수의 미공개 조각 작품들이 전시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에서 극사실주의 조각가 론 뮤익과 '물방울 화가' 김창열의 전시를, 과천관에서는 한국미술 100년사를 아우르는 대규모 전시를 선보인다. 특히 이건희컬렉션과 미술관 소장품이 어우러진 한국 근현대미술사 전시는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시립미술관과 아트선재센터도 강명희, 하종현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전시를 준비 중이다. 국제갤러리는 하종현, 루이스 부르주아 등 세계적 거장들의 전시를, 갤러리현대는 신성희, 김민정 등 한국 현대미술의 핵심 작가들의 개인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9월에는 프리즈 서울과 키아프 서울이 코엑스에서 동시 개최되어 서울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국의 '2030 극우론' vs 이낙연의 '수축세대 공정론', 정면 충돌

 이낙연 새로운미래 상임고문이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20·30 극우화' 언급을 겨냥해 "20·30은 과정의 공정을 특히 중시하는 세대"라고 지적했다. 이는 20·30 세대가 처한 특수한 시대적 환경을 옹호하며 조 전 대표의 진단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됐다.앞서 조 전 대표는 자신의 사면·복권에 대한 20·30의 높은 반대 여론과 관련해 "20·30 남성이 70대와 비슷한, 이른바 극우 성향을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이후 SNS에 '서울 잘사는 청년은 극우'라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며 자신의 주장을 이어갔다. 자녀 입시 비리 문제에 대한 젊은 세대의 비판을 '20·30 남성의 극우화' 탓으로 돌린다는 비판이 일각에서 나왔다.이러한 '20·30 극우화' 주장에 대해 이 고문은 SNS를 통해 반박에 나섰다. 그는 "20·30을 말하려면 그 특별한 시대 배경을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며, 이들이 민주화·선진화 시대에 태어나 선진사회의 의식을 지녔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이 고문은 이들이 경제적으로는 '수축 시대'를 살고 있다는 점을 문제의 핵심으로 짚었다. 과거 '팽창 시대'와 달리 기회와 파이가 모두 줄어든 '수축 시대'에는 경쟁에서 지면 자기 몫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정의 '공정'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으며, 과정이 공정하지 못하면 결과에 승복하기 어려워하는 인식이 20·30 세대에 특별히 강해진 것은 필연적 귀결이라고 덧붙였다.국민의힘 주진우 의원 또한 조 전 대표를 겨냥해 "감옥에서 성찰했다더니 겨우 생각한 것이 청년 극우 몰이냐"라고 직격했다. 주 의원은 "입시 비리로 청년 인생 망쳐놓고 청년 탓하는 것이 조국답다"고 꼬집으며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