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삼성전자 '몰락'에… "내 돈 돌려줘!" 개미들 '패닉'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던 '삼성'의 아성이 흔들리고 있다. 올 한 해에만 삼성그룹 전체 시가총액이 무려 160조 원 넘게 증발하며 국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대로 주저앉았다. 특히 '반도체 제왕' 삼성전자의 끝없는 추락이 그룹 전체의 부진을 이끌고 있어,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26일 기준 삼성그룹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은 548조 4,413억 원으로, 작년 말(709조 6,920억 원) 대비 22.7%나 급감했다. 이는 국내 증시에서 삼성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을 27.57%까지 끌어내렸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38%를 웃돌았던 '삼성 천하'는 옛말이 됐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부진이 삼성그룹 전체의 위기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 들어 31.71%나 폭락하며 유독 혹독한 한 해를 보냈다. 삼성SDI(-47.66%), 삼성E&A(-42.68%) 등 다른 계열사들도 약세를 면치 못하며 그룹 전체 시총 하락에 일조했다.

 

문제는 삼성전자의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증권가에서는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공격적인 저가 공세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내년에도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최근 증권사들은 일제히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물론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금융 계열사들은 비교적 선방했고, 조선업계 호황에 힘입어 삼성중공업도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대장주' 삼성전자의 빈자리를 채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삼성전자에 '몰빵' 투자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망연자실한 분위기다. 각종 주식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삼성전자 믿고 투자했는데, 이제 어떡하냐", "내 노후 자금이 다 날아가는 것 같다" 등 한숨 섞인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LA 다저스 시대는 끝났나? 충격의 3번 시드 추락, ‘슈퍼팀’의 믿을 수 없는 몰락

 2025시즌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의 판도가 심상치 않다. 시즌 내내 압도적인 '슈퍼팀'으로 군림할 것 같았던 LA 다저스의 위상이 흔들리고, 그 자리를 새로운 강자들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다. 8월 31일 기준, 내셔널리그 전체 1위는 85승 52패(승률 0.620)라는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 중인 밀워키 브루어스다. 이들은 구단 역대 최다승 경신을 넘어 100승 고지까지 넘보고 있다.그 뒤를 잇는 2위는 필라델피아 필리스다. 에이스 잭 윌러가 혈전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는 최악의 악재를 맞았음에도, 애런 놀라의 부활과 하위 선발진의 호투에 힘입어 굳건히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 두 팀의 약진 속에 '당연한 1위'로 여겨졌던 LA 다저스는 어느새 3번 시드까지 밀려났다. 심지어 지구 2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격차가 단 1경기에 불과해, 지구 우승 타이틀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3번 시드로 포스트시즌을 시작한다는 것은 다저스에게 가혹한 형벌과도 같다. 디비전시리즈와 챔피언십시리즈에서 홈 어드밴티지를 누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일드카드 시리즈라는 험난한 관문을 하나 더 거쳐야 한다. 현재 순위대로라면 다저스는 와일드카드 3위 뉴욕 메츠와 단기전을 치른 뒤, 막강한 선발진을 자랑하는 필라델피아를 상대해야 하는 최악의 대진을 받아들게 된다.다저스의 추락은 예견된 결과일지도 모른다. 시즌 초부터 블레이크 스넬, 타일러 글래스나우 등 핵심 선발 자원들이 부상으로 신음했고, 최근에는 김혜성, 토미 에드먼, 맥스 먼시 등 공수에서 살림꾼 역할을 하던 선수들마저 대거 이탈하며 ‘부상 병동’으로 전락했다. 타선의 기복도 심각한 수준이다. 여기에 트레이드 마감 시한을 앞두고 보여준 미지근한 행보는 팬들의 실망감을 키웠다. 불펜 투수 브록 스튜어트를 영입했지만 벌써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고질적인 문제였던 코너 외야 수비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저스가 여전히 월드시리즈 우승 1순위 후보로 꼽히는 것은 아이러니다. 스넬-글래스나우-야마모토 요시노부-클레이튼 커쇼로 이어지는 선발 로테이션은 리그 최강이며, 먼시가 복귀하면 타선의 파괴력도 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년처럼 안락한 길은 없을 것이다. 험난한 대진과 잦은 이동 거리에서 오는 피로도는 분명 다저스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변수다. ‘가을의 기적’을 쓰기 위한 다저스의 여정은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한 가시밭길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