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K-꿀떡 시리얼' 열풍… SPC삼립 글로벌 접수 시작?

 K-베이커리 열풍을 타고 SPC그룹의 해외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캐나다 밴쿠버에 9호점과 10호점을 연이어 오픈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SPC삼립은 해외에서 화제가 된 '꿀떡 시리얼' 인기에 힘입어 수출용 꿀떡을 개발, 글로벌 K-디저트 시장 공략에 나선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 코퀴틀람 지역에 9호점을 열었다. 오픈 당일, 영업 시작 전부터 100여 명의 시민들이 장사진을 이루며 K-베이커리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4,500개가 넘는 빵과 케이크가 동이 나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었으며, 밴쿠버 도심의 고급 상권인 올버니 스트리트에 10호점을 연이어 오픈하며  캐나다 서부 지역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밴쿠버 매장에서 프랑스식 애플파이인 '쇼송 오 폼므'를 비롯해 다양한 종류의 페이스트리, 생크림 케이크 등을 선보이며 현지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관계자는 "캐나다 전역으로 매장을 확대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SPC삼립은 '빚은' 브랜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출용 '한입 꿀떡'을 개발, 내년 상반기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해외 SNS에서 한국 꿀떡을 우유에 말아먹는 '꿀떡 시리얼'이 인기를 끌자 발 빠르게 수출용 제품 개발에 나선 것이다.

 

SPC삼립은 국산 쌀을 사용하고 1,000번 이상 반죽을 치대 쫄깃한 식감을 살린 고품질 꿀떡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수출 품목인 호빵, 약과, 찜케이크, 생크림빵 등의  판매 채널 확대에도 주력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미국 코스트코와 일본 돈키호테에 입점하며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삼립약과'를 필두로  K-디저트 열풍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SPC삼립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K-디저트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해외 상품군을 다양화하고 수출 사업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내년 수출 규모를 올해 대비 20% 이상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톱10 휩쓸던 한국 여자 골프, 이젠 '단 한 명도 없다'

 세계 여자 골프 랭킹 톱10에서 한국 선수의 이름이 사라졌다. 단 한 명도 톱10에 들지 못한 것은 전례 없는 일로, 과거 세계 최강으로 불리며 톱10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한국 여자 골프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다.22일(한국시간) 발표된 여자 골프 세계랭킹에서 한국 선수가 상위 10위권에 전멸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지난주 9위였던 유해란이 12위로 3계단 하락하며 톱10 밖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다.올 시즌 초 7위로 출발했던 유해란은 3월에 9위로 내려앉았고, 이달 초까지 10위를 지키며 한국 선수 중 유일하게 톱10 자리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이번 순위 발표에서 추가 하락하며 결국 톱10 밖으로 밀려났다.다른 한국 선수들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고진영은 지난주보다 2계단 상승했지만 11위에 머물렀고, 김효주는 13위, 양희영은 16위에 그치며 모두 톱10 진입에 실패했다.한국 여자 골프는 2010년대 중후반 세계 톱10에 5~6명씩 이름을 올리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3년부터 조금씩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했고, 톱10 내 한국 선수 비중이 줄어들었다. 작년 1월에는 고진영(6위)과 김효주(7위) 두 명만이 톱10에 포함됐으나, 그마저도 오래 지키지 못하고 순위 경쟁에서 밀려나더니 결국 '톱10 전무'라는 참담한 결과를 피하지 못했다. 현재 세계랭킹 톱10에는 미국 선수가 4명으로 가장 많고, 태국, 뉴질랜드, 중국, 호주, 일본, 잉글랜드 선수가 각 1명씩 포진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선수 중에서는 윤이나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윤이나는 3주 연속 2계단씩 순위를 끌어올리며 21위까지 도약했다. 올 초 29위였던 윤이나는 2월 22일자 발표에서 24위까지 올랐다가 3월에는 27위로 잠시 주춤했으나, 4월 들어 대회에 연속 출전하며 25위, 23위, 그리고 21위로 매주 꾸준히 순위를 높이고 있다.윤이나의 가파른 순위 상승은 세계랭킹 산정 방식의 '최소 대회 수(35개)' 규정 덕분이다. 세계랭킹은 최근 2년 동안 참가한 대회에서 획득한 포인트를 평균으로 나누는데, 최소 출전 대회를 35개로 정하고 있다. 2023년 대회에 나오지 못한 윤이나는 2024년과 올해 참가한 대회가 총 32개로 아직 35개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대회를 추가할수록 포인트만 쌓여 평균 점수가 높아지는 유리한 상황이다. 35개 대회를 채운 이후부터는 평점을 나누는 대회 수도 함께 올라간다. 윤이나는 최근 출전한 3개 대회에서 JM이글 LA챔피언십 공동 16위, T모바일 매치플레이 공동 35위, 포드 챔피언십 공동 22위를 기록했다.한편, 최근 LPGA 투어 JM이글 LA 챔피언십에서 프로 첫 우승을 차지한 잉그리드 린드블라드는 무려 182계단 껑충 뛰어 42위에 자리했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넥센 세인트나인 마스터즈 우승자인 방신실도 10계단 상승한 64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