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G마켓, 이번엔 진짜 팔린다?"… 알리바바와 '빅딜' 성사될까?

 신세계그룹이 야심 차게 인수했던 G마켓이 3년 연속 적자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결국 '매각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최근 알리바바와 손잡고 합작법인을 설립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실상 알리바바에 G마켓을 넘기는 수순이 아니냐는 분석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26일 신세계그룹은 중국 알리바바 인터내셔널과 손잡고 2025년까지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를 자회사로 둔 합작법인(JV)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지분은 5:5로, 신세계는 G마켓을 현물 출자한다.

 

겉으로는 '글로벌 플랫폼과의 시너지 창출'을 내세웠지만, 업계에서는 사실상 'G마켓 살리기'를 위한 고육지책으로 해석하고 있다. 2021년 3조 5천억 원이라는 거액을 들여 인수한 G마켓은 쿠팡, 네이버 등 경쟁업체에 밀려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실제로 G마켓은 신세계 편입 후 2022년 654억 원, 2023년 321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올해도 3분기까지 누적 적자가 341억 원에 달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커머스 시장 성장세마저 둔화하면서 G마켓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졌다. 결국 신세계는 올해 6월 G마켓 대표를 교체하고 알리바바 출신 인사를 영입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했지만,  뚜렷한 반등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번 합작법인 설립에 대해 업계의 시각은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알리바바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기술력을 활용해 G마켓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는다.

 

반면,  합작법인 설립 후 3년 안에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사실상 '매각 수순'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IPO가 여의치 않을 경우 알리바바가 신세계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까지 거론되고 있다.

 

만약 알리바바가 G마켓 지분을 모두 인수하게 된다면 신세계는 사실상 3년 만에 G마켓을 '헐값'에  넘기는 셈이 된다.

 

과연 신세계가 알리바바라는 '구원투수'를 통해 '밑 빠진 독' G마켓을 살려낼 수 있을지, 아니면 '손절' 타이밍만 엿보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 축구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인천 U-18에 완패한 중국 대표팀의 굴욕

 중국 U-18 축구 국가대표팀이 한국의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에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면서 양국 간 축구 실력 격차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중국 언론들은 이번 패배를 통해 자국 유소년 축구의 현실을 뼈아프게 인정하며 한국 축구 시스템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27일 중국 제남에서 열린 제33회 한중일 스포츠교류대회 결승전에서 데얀 주르예비치 감독이 이끄는 중국 U-18 대표팀은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대건고)에 1-2로 무릎을 꿇었다. 이 경기는 단순한 패배를 넘어서 중국 축구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경기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의 열세가 더욱 명확해진다. 인천 U-18 팀은 전반 15분 선제골로 경기의 주도권을 잡았고, 후반 추가시간에 쐐기골을 터트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 중국이 막판 한 골을 만회했지만 역전에는 실패했다. 결과적으로 인천 U-18 팀은 3전 전승으로 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홈팀 중국은 2승 1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다.중국 대표 매체 '소후닷컴'은 이번 패배를 분석하며 "중국 U-18 대표팀이 한국 프로팀에 패배하며, 그 격차가 얼마나 큰지 여실히 드러났다! 중국 축구는 아직 갈 길이 멀다"라고 자성의 목소리를 높였다.특히 중국 언론들은 이번 경기가 단순한 승부를 넘어 양국 축구 시스템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다. 매체는 "이번 중국-한국 경기는 한국 유소년 축구 훈련 시스템의 성숙함과 강점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한국 축구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높이 평가했다.중국 언론의 분석에 따르면,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은 "탁월한 전술 실행력, 경기 템포 조절, 그리고 결정적인 기회 포착 능력"을 보여준 반면, 중국 U-18 대표팀은 "투지는 보여주었지만, 전반적인 조율 능력과 전술적 숙련도 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했다"고 냉정하게 평가했다.이는 더욱 충격적인데, 중국 대표팀이 대회 초반 바오터우FC를 7-0으로 대파하고 일본의 시미즈 S-펄스 U-18팀을 3-0으로 완파하며 기대감을 높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의 프로 클럽 유스팀과 맞붙은 순간 그 한계가 드러난 것이다.중국 언론들은 이번 패배의 원인을 시스템적 차이에서 찾았다. "프로 K리그의 예비 전력인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이라고 표현하며, 한국의 프로 클럽 시스템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강조했다. 반면 중국은 국가대표팀 중심의 단편적인 훈련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특히 한국의 유소년 축구 시스템에 대한 찬사가 이어졌다. "한국의 유소년 축구 훈련 시스템은 엄격한 접근 방식으로 정평이 나 있다"며, "프로 클럽들은 성숙하고 잘 발달된 유소년 팀 구조를 자랑하며, 젊은 선수들은 기술 및 전술적 능력, 신체 능력, 그리고 경쟁 심리를 체계적으로 훈련받는다"고 분석했다.중국 언론은 이러한 체계적 차이가 "특히 중요한 순간에 두드러진다"며, 이번 경기에서도 그것이 명확히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인천 U-18 팀은 전반 초반과 후반 추가시간이라는 결정적 순간에 골을 넣으며 경기를 컨트롤했다.이번 패배는 중국 축구계에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매체는 "이 패배는 막 태동하는 중국 청소년 국가대표팀에게 깊은 교훈을 남겼다"며 "한국의 동년배 최강의 프로팀을 상대로 맞붙은 이번 경기는 중국 청소년 축구 발전의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모두에게 깨닫게 했다"고 강조했다.중국 언론들은 해결책도 제시했다. "중국의 유소년 축구 훈련은 기본부터 착실히 시작하여 지속 가능한 유소년 훈련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일본과 한국 같은 아시아 축구 강국과의 격차를 진정으로 좁히고 중국 축구의 미래가 어려움으로 가득 차 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고 촉구했다.이번 사건은 한국 축구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계기가 되었다. 프로 클럽의 유스팀이 중국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것은 한국 축구의 저변 확대와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특히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의 완벽한 대회 운영은 K리그 유스 시스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3전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한 것은 개별 선수들의 실력뿐만 아니라 팀워크와 전술적 완성도에서 중국을 압도했음을 의미한다.중국 축구계는 이번 패배를 계기로 근본적인 시스템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단순히 외국인 감독을 영입하거나 해외 전지훈련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유소년 단계부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육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