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50년 만에 열린 벙커 속 빵 향기 '빵·커 축제' 27일 개막

 충북도가 50년간 베일에 싸여있던 옛 당산 생각의 벙커를 시민들의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오랜 시간 잠들어 있던 공간은 이제 달콤한 빵 향기와 커피 향으로 가득 채워진다. 

 

충북도는 오는 27일부터 이틀간 '빵·커(벙커에서 함께하는 빵과 커피) 축제'를 열어 특별한 미식 경험으로 초대한다.

 

축제는 단순히 빵과 커피를 즐기는 것을 넘어, 지역 제과제빵 업체들의 땀과 열정을 엿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예정이다. 단양 명물로 자리 잡은 카페산과 바누아투과자점의 빵을 무료로 시식하며 맛을 음미할 수 있으며,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본정초콜릿, 흥덕제과, 굼드림 등 지역 대표 제과점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담은 특별한 메뉴를 선보일 예정이다.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성하게 만들어줄 문화 행사도 준비되어 있다. 아름다운 선율의 클래식 공연은 벙커라는 독특한 공간과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초콜릿 마스터 김동석 셰프가 직접 진행하는 '월드 초콜릿 마스터셰프의 길' 프로그램은 초콜릿의 세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함께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며 달콤한 축제의 감동을 더할 예정이다.

 

'빵·커 축제'는 50년 만에 세상 밖으로 나온 벙커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주민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역시 '이것'이 대세…국민 10명 중 7명은 고민 없이 '신용카드' 선택했다.

 행정안전부는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원을 지급하는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이 국민들의 폭발적인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29일 밝혔다. 신청 접수 6주 만에 전체 대상자의 98.2%에 달하는 4,969만 명이 신청을 완료했으며, 이를 통해 시중에 풀린 지원금은 전날 자정 기준으로 총 9조 8억 원에 이른다. 이는 사실상 대상자 대부분이 신청에 참여하며 높은 정책 호응도를 보여준 결과로 풀이된다.지급 유형별 통계를 살펴보면, 국민들의 선호도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전체 신청 건수 중 69.3%에 해당하는 3,444만 건이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충전 방식을 선택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별도의 카드 발급이나 복잡한 절차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결제 수단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뒤이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역사랑상품권이 920만 건(18.5%)으로 2위를 기록했으며, 특정 카드사나 은행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선불카드가 606만 건(12.2%)으로 그 뒤를 이었다.지역별 신청률에서는 미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라남도는 98.72%의 신청률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울산(98.68%)과 대구(98.62%) 역시 높은 신청률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밀집한 서울특별시는 891만 명이 신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청률은 97.56%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다만, 수도권 전체로 확대해 보면 경기도가 1,331만 명(98.09%), 인천광역시가 297만 명(98.30%)의 높은 참여율을 보여 수도권 시민들의 관심 역시 뜨거웠음을 증명했다.이번 지원금이 단순 지급에 그치지 않고 실제 민생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총액 5조 9,715억 원 중, 이미 4조 6,968억 원이 실제 소비로 이어져 78.7%라는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지급된 지원금이 잠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가계의 생활비 부담을 덜고 지역 상권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등 정책 본연의 효과를 내고 있음을 시사하는 긍정적인 신호다. 정부는 아직 신청하지 않은 국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한편, 지급된 지원금이 연말까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비 활성화 분위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