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50년 만에 열린 벙커 속 빵 향기 '빵·커 축제' 27일 개막

 충북도가 50년간 베일에 싸여있던 옛 당산 생각의 벙커를 시민들의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오랜 시간 잠들어 있던 공간은 이제 달콤한 빵 향기와 커피 향으로 가득 채워진다. 

 

충북도는 오는 27일부터 이틀간 '빵·커(벙커에서 함께하는 빵과 커피) 축제'를 열어 특별한 미식 경험으로 초대한다.

 

축제는 단순히 빵과 커피를 즐기는 것을 넘어, 지역 제과제빵 업체들의 땀과 열정을 엿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예정이다. 단양 명물로 자리 잡은 카페산과 바누아투과자점의 빵을 무료로 시식하며 맛을 음미할 수 있으며,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본정초콜릿, 흥덕제과, 굼드림 등 지역 대표 제과점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담은 특별한 메뉴를 선보일 예정이다.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성하게 만들어줄 문화 행사도 준비되어 있다. 아름다운 선율의 클래식 공연은 벙커라는 독특한 공간과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초콜릿 마스터 김동석 셰프가 직접 진행하는 '월드 초콜릿 마스터셰프의 길' 프로그램은 초콜릿의 세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함께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며 달콤한 축제의 감동을 더할 예정이다.

 

'빵·커 축제'는 50년 만에 세상 밖으로 나온 벙커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주민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욕지초, 7명에서 9명으로 '점프'! 섬마을 학교에 경사 났네

 경남 통영시 욕지초등학교에 희망의 새 바람이 분다. 전교생 7명에 불과했던 이 작은 섬 학교가 오는 9월 1일, 대구에서 온 초등학생 2명을 새 가족으로 맞이하며 활기를 되찾을 준비를 마쳤다. 이는 소멸 위기에 처했던 섬마을 학교를 살리기 위한 주민과 동문들의 뜨거운 노력의 값진 결실이다.1924년 개교해 100년 역사의 욕지초등학교는 육지 이주 등으로 학생 수가 급감하며 폐교 위기에 직면했었다. 통영에서 30km 이상 떨어진 남해안 외딴섬 욕지도는 현재 19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욕지초와 욕지중 학생 수는 각각 7명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위기감 속에서 지난해부터 '욕지학교 살리기 추진위원회'가 발족, 대대적인 학교 살리기 운동이 시작됐다.추진위원회는 전입 가족 빈집 리모델링 지원은 물론, 주거 및 일자리 제공, 장학금 지급, 공부방 운영, 골프와 스노클링 강습 등 사교육 걱정 없는 다채로운 교육 혜택을 약속하며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유튜브 영상과 통영 당포항에 자녀 동반 전입 환영 플래카드를 내거는 등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였다.통영시의 적극적인 지원 또한 학교 살리기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시는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에서 빈집 정비에 8천만 원을 배정하여, 전입 가족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의 결실로, 대구에 거주하던 김모 씨 가족 5명(초등학생 2명 포함)이 현수막을 통해 소식을 접하고 문의한 끝에, 지난 22일 리모델링을 마친 욕지도 서촌마을의 빈집에 새 보금자리를 틀었다. 이들의 자녀들은 9월부터 욕지초등학교에서 새로운 학업을 시작하게 된다. 더불어 경북 예천에 살던 허모 씨 가족(유치원생 2명 포함) 역시 빈집 리모델링이 완료되는 대로 욕지도에 터를 잡을 예정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이 두 가족이 통영시가 집주인과 임대차계약을 맺고 월세를 대신 부담하는 방식으로 3년간 무상으로 빈집에 거주할 수 있다는 점이다.통영시는 앞으로도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욕지학교 살리기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전학생 유치는 단순히 학생 수 증가를 넘어, 섬마을 공동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작은 학교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욕지초의 작은 교실에서 피어날 큰 꿈들이 섬 전체에 긍정적 에너지를 전파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