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부부 싸움, 자녀 심장에 '폭탄' 심는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잦은 싸움, 단순한 부부 싸움으로 치부하기엔 그 상처가 너무 깊다.  단순히 정신적인 상처를 넘어  성인이 된 후 심각한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45세 이상 중국인 1만 4천여 명을 대상으로 무려 9년간 추적 연구를 진행했다. 놀랍게도 어린 시절 부모의 신체적 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최대 36%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심장마비, 협심증, 뇌졸중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 위험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어린 시절 부모의 폭력을 목격하며 자란 아이들은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불안감에 시달리고, 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만성 스트레스로 이어져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우울증은 부모의 폭력과 심혈관 질환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어린 시절 부모의 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우울증 발병률이 높았고, 우울증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우울증을 거쳐 심장병, 뇌졸중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어린 시절 부모의 폭력이 단순히 가정 내 문제를 넘어 개인의 평생 건강에까지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연구팀은 "가정 폭력은 개인의 삶 전반에 걸쳐 치유하기 힘든 상처를 남기고, 건강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라며 "가정 폭력을 예방하고, 피해자들의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과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불닭볶음면 이어 제2의 K푸드 신화? 中서 11개월 만에 104억 판 풀무원 냉동김밥 인기

 풀무원의 냉동김밥이 중국 시장에서 놀라운 인기를 얻으며 K푸드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9월 중국 대형 유통업체 샘스클럽(Sam's Club)에 입점한 이후 불과 11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250만 줄을 돌파하는 기록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는 금액으로 환산하면 5300만 위안(약 104억원)에 달하는 규모다.풀무원은 2010년 중국 현지 법인 '푸메이뚜어 식품'을 설립하고 콜드체인(저온 유통) 시스템을 기반으로 냉장·냉동 가공식품을 제조·유통해왔다. 당초 냉동김밥의 연간 판매 목표는 186만 줄이었으나,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중국 소비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확인했다.현재 중국에서는 참치 냉동김밥만 판매 중이지만, 풀무원은 제품군 확대를 위해 오는 10월 중국 식품 제조·가공업체와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중국은 식재료 반입 규정이 까다로워 한국에서 다양한 식재료를 들여오기 어렵지만, OEM을 통해 현지에서 고기와 같은 식재료를 조달하면 냉동김밥 제품군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전략이다.풀무원 냉동김밥의 인기 비결은 중국 MZ세대 사이에서 '간편하고 고급스러운 한식 한 끼'로 입소문을 탄 덕분이다. 샤오홍슈, 더우인(중국 틱톡), 웨이보 등 중국 젊은 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SNS에는 풀무원 냉동김밥을 시식하는 영상과 리뷰가 다수 올라왔으며, '데우기만 하면 한국 맛집 김밥'이라는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이러한 현상은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중국 시장에 자리 잡기 시작했을 때와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2012년 출시된 불닭볶음면은 2014~2015년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의 '불닭볶음면 챌린지'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삼양식품은 2016년 중국 법인을 통해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고, 현재 중국은 삼양식품 전체 해외 매출의 29%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으로 성장했다.식품업계에서는 풀무원의 냉동김밥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처럼 글로벌 히트 상품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불닭볶음면이 유튜브 챌린지와 콘텐츠를 통해 해외 인지도를 얻었던 것처럼, 풀무원의 냉동김밥도 중국 SNS를 중심으로 인기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업계 관계자는 "냉동식품에 대한 인식이 개선된 상황에서 한국 드라마나 K팝 소비가 늘어나자, 한국 문화에 익숙해진 중국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K냉동김밥을 많이 구매하는 추세"라며 "현재의 인기를 잘 이어가면 풀무원 냉동김밥도 불닭볶음면처럼 중국 내 간편식 시장 지형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전문가들은 풀무원이 성공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고유한 브랜드명으로 승부를 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K푸드 열풍으로 냉동김밥을 찾는 사람들은 많아졌는데, CJ제일제당의 '비비고'나 불닭볶음면처럼 하나의 고유한 브랜드명으로 승부를 보는 게 좋은 상황"이라며 "현지 냉동김밥 핵심 브랜드명을 어떻게 만들어 각인시키고 유행시키냐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