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부부 싸움, 자녀 심장에 '폭탄' 심는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잦은 싸움, 단순한 부부 싸움으로 치부하기엔 그 상처가 너무 깊다.  단순히 정신적인 상처를 넘어  성인이 된 후 심각한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45세 이상 중국인 1만 4천여 명을 대상으로 무려 9년간 추적 연구를 진행했다. 놀랍게도 어린 시절 부모의 신체적 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최대 36%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심장마비, 협심증, 뇌졸중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 위험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어린 시절 부모의 폭력을 목격하며 자란 아이들은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불안감에 시달리고, 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만성 스트레스로 이어져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우울증은 부모의 폭력과 심혈관 질환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어린 시절 부모의 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우울증 발병률이 높았고, 우울증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우울증을 거쳐 심장병, 뇌졸중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어린 시절 부모의 폭력이 단순히 가정 내 문제를 넘어 개인의 평생 건강에까지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연구팀은 "가정 폭력은 개인의 삶 전반에 걸쳐 치유하기 힘든 상처를 남기고, 건강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라며 "가정 폭력을 예방하고, 피해자들의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과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욕지초, 7명에서 9명으로 '점프'! 섬마을 학교에 경사 났네

 경남 통영시 욕지초등학교에 희망의 새 바람이 분다. 전교생 7명에 불과했던 이 작은 섬 학교가 오는 9월 1일, 대구에서 온 초등학생 2명을 새 가족으로 맞이하며 활기를 되찾을 준비를 마쳤다. 이는 소멸 위기에 처했던 섬마을 학교를 살리기 위한 주민과 동문들의 뜨거운 노력의 값진 결실이다.1924년 개교해 100년 역사의 욕지초등학교는 육지 이주 등으로 학생 수가 급감하며 폐교 위기에 직면했었다. 통영에서 30km 이상 떨어진 남해안 외딴섬 욕지도는 현재 19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욕지초와 욕지중 학생 수는 각각 7명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위기감 속에서 지난해부터 '욕지학교 살리기 추진위원회'가 발족, 대대적인 학교 살리기 운동이 시작됐다.추진위원회는 전입 가족 빈집 리모델링 지원은 물론, 주거 및 일자리 제공, 장학금 지급, 공부방 운영, 골프와 스노클링 강습 등 사교육 걱정 없는 다채로운 교육 혜택을 약속하며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유튜브 영상과 통영 당포항에 자녀 동반 전입 환영 플래카드를 내거는 등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였다.통영시의 적극적인 지원 또한 학교 살리기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시는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에서 빈집 정비에 8천만 원을 배정하여, 전입 가족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의 결실로, 대구에 거주하던 김모 씨 가족 5명(초등학생 2명 포함)이 현수막을 통해 소식을 접하고 문의한 끝에, 지난 22일 리모델링을 마친 욕지도 서촌마을의 빈집에 새 보금자리를 틀었다. 이들의 자녀들은 9월부터 욕지초등학교에서 새로운 학업을 시작하게 된다. 더불어 경북 예천에 살던 허모 씨 가족(유치원생 2명 포함) 역시 빈집 리모델링이 완료되는 대로 욕지도에 터를 잡을 예정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이 두 가족이 통영시가 집주인과 임대차계약을 맺고 월세를 대신 부담하는 방식으로 3년간 무상으로 빈집에 거주할 수 있다는 점이다.통영시는 앞으로도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욕지학교 살리기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전학생 유치는 단순히 학생 수 증가를 넘어, 섬마을 공동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작은 학교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욕지초의 작은 교실에서 피어날 큰 꿈들이 섬 전체에 긍정적 에너지를 전파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