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손흥민, 700억에 묶였다! 토트넘 '황금 감옥'의 덫?

 손흥민의 토트넘 잔류 여부를 둘러싼 8개월간의 밀당이 드디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손흥민은 토트넘과의 계약에 따라 1년 더 잔류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는 손흥민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기보다는, 토트넘이 '손흥민을 공짜로 놓칠 수 없다'는 의지가 만들어낸 '황금 감옥'에 가깝다.

 

토트넘은 2025년 6월까지인 손흥민과의 계약에 포함된 1년 연장 옵션을 발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손흥민은 2026년까지 토트넘 소속으로 뛰게 된다.

 

문제는 토트넘이 재계약 조건을 두고 손흥민 측과 이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토트넘은 새로운 계약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조건에서 1년 연장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리빙 레전드' 손흥민에 대한 대우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손흥민 입장에서는 1년 뒤 자유계약(FA) 신분으로 이적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된다. 물론 토트넘이 옵션을 발동하더라도 다른 구단으로 이적할 수는 있다. 하지만 토트넘이 손흥민의 몸값으로 무려 700억 원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바이에른 뮌헨 등 빅클럽들이 손흥민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이들은 손흥민을 내년 여름 FA로 영입할 계획을 세웠지만, 토트넘의 옵션 발동으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100~200억 원 수준의 이적료라면 빅클럽들이 손흥민 영입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700억 원은 부담스러운 금액이다. 결국 손흥민은 1년 더 토트넘에 머물거나, 700억 원이라는 엄청난 이적료를 감수해야 하는 선택의 기로에 섰다.

 

과연 손흥민은 토트넘의 '황금 감옥'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전에 나설 수 있을까? 전 세계 축구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LA 다저스 시대는 끝났나? 충격의 3번 시드 추락, ‘슈퍼팀’의 믿을 수 없는 몰락

 2025시즌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의 판도가 심상치 않다. 시즌 내내 압도적인 '슈퍼팀'으로 군림할 것 같았던 LA 다저스의 위상이 흔들리고, 그 자리를 새로운 강자들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다. 8월 31일 기준, 내셔널리그 전체 1위는 85승 52패(승률 0.620)라는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 중인 밀워키 브루어스다. 이들은 구단 역대 최다승 경신을 넘어 100승 고지까지 넘보고 있다.그 뒤를 잇는 2위는 필라델피아 필리스다. 에이스 잭 윌러가 혈전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는 최악의 악재를 맞았음에도, 애런 놀라의 부활과 하위 선발진의 호투에 힘입어 굳건히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 두 팀의 약진 속에 '당연한 1위'로 여겨졌던 LA 다저스는 어느새 3번 시드까지 밀려났다. 심지어 지구 2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격차가 단 1경기에 불과해, 지구 우승 타이틀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3번 시드로 포스트시즌을 시작한다는 것은 다저스에게 가혹한 형벌과도 같다. 디비전시리즈와 챔피언십시리즈에서 홈 어드밴티지를 누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일드카드 시리즈라는 험난한 관문을 하나 더 거쳐야 한다. 현재 순위대로라면 다저스는 와일드카드 3위 뉴욕 메츠와 단기전을 치른 뒤, 막강한 선발진을 자랑하는 필라델피아를 상대해야 하는 최악의 대진을 받아들게 된다.다저스의 추락은 예견된 결과일지도 모른다. 시즌 초부터 블레이크 스넬, 타일러 글래스나우 등 핵심 선발 자원들이 부상으로 신음했고, 최근에는 김혜성, 토미 에드먼, 맥스 먼시 등 공수에서 살림꾼 역할을 하던 선수들마저 대거 이탈하며 ‘부상 병동’으로 전락했다. 타선의 기복도 심각한 수준이다. 여기에 트레이드 마감 시한을 앞두고 보여준 미지근한 행보는 팬들의 실망감을 키웠다. 불펜 투수 브록 스튜어트를 영입했지만 벌써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고질적인 문제였던 코너 외야 수비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저스가 여전히 월드시리즈 우승 1순위 후보로 꼽히는 것은 아이러니다. 스넬-글래스나우-야마모토 요시노부-클레이튼 커쇼로 이어지는 선발 로테이션은 리그 최강이며, 먼시가 복귀하면 타선의 파괴력도 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년처럼 안락한 길은 없을 것이다. 험난한 대진과 잦은 이동 거리에서 오는 피로도는 분명 다저스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변수다. ‘가을의 기적’을 쓰기 위한 다저스의 여정은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한 가시밭길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