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G마켓, 오스트리아 '겨울여행 끝판왕' 선보여

G마켓은 오스트리아 관광청과 협업해 겨울 여행객들을 위한 특별 기획전 ‘로맨틱 윈터 인 오스트리아’를 단독으로 오픈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기획전은 항공권, 호텔, 패키지 할인뿐만 아니라 현지 쇼핑 명소인 ‘맥아더글렌 디자이너 판도르프 센터’의 할인 혜택까지 포함해 여행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기획전은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며, 매일 오전 10시 선착순 100명에게 오스트리아 항공권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해당 쿠폰은 발급 후 3일 이내 사용 가능하며, 비엔나를 비롯해 잘츠부르크, 인스부르크, 그라츠 등 오스트리아의 주요 도시 여행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오스트리아의 인기 호텔과 여행 패키지 상품도 특별 할인가로 제공되며, 항공권 구매 고객에게 추가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이를 통해 여행객들은 항공권과 숙박, 패키지를 경제적으로 예약할 수 있다.

 

쇼핑 혜택도 눈길을 끈다. G마켓과 옥션 고객은 프로모션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QR코드를 통해 판도르프 센터에서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비엔나 시내와 아울렛을 연결하는 셔틀버스 이용료도 할인받을 수 있다.

 

G마켓 관계자는 “오스트리아는 낭만적인 겨울 여행지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며 “오스트리아 관광청 및 현지 명품 쇼핑 명소와 협업해 기획전을 준비했다. 유럽 여행을 계획 중인 고객들에게 최적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기획전은 여행 준비를 고민하는 고객들에게 항공, 숙박, 쇼핑 혜택을 통합 제공하며 매력적인 겨울 유럽 여행의 기회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값, 그야말로 미쳤다… 3일 연속 사상 최고치, 대체 어디까지 오르나

 국제 금 시세가 무서운 기세로 랠리를 펼치며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으로 투자 수요가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현지시간 3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장보다 1.21% 급등한 온스당 3,635.5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최근 월물 기준으로 3거래일 연속 이어진 사상 최고가 경신으로, 올해 들어서만 37% 폭등하며 파죽지세의 상승 랠리를 이어가는 모습이다.금 현물 가격 역시 역대 최고치를 다시 한번 돌파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은 미 동부시간 오후 2시 25분 기준 온스당 3,576.59달러로 전장 대비 1.2% 올랐으며, 장중 한때 3,578.50달러까지 치솟으며 종전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이러한 금값의 초강세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주요 선진국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깊은 우려가 꼽힌다. 각국 정부의 부채 문제로 글로벌 채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가장 확실한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세계 중앙은행들의 움직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 분석가들을 인용해, 세계 중앙은행들이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미국 국채의 비중을 줄이고 금 매입을 공격적으로 늘린 것이 최근의 금값 상승을 견인한 핵심 동력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 건전성과 중앙은행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겹치며 미 국채 시장은 장기물을 중심으로 수익률이 급등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채권 수익률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미국의 노동 시장 약화 신호 역시 금값 강세에 기름을 부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구인 건수는 718만 1천 건으로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시장 전망을 크게 하회했다. 이는 경기 둔화의 신호로 해석되어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증폭시켰다. 금리 선물시장은 0.25%포인트 금리 인하 확률을 95%까지 반영하고 있으며, 금리 인하는 이자가 없는 자산인 금의 투자 매력도를 더욱 높이는 요인이다.제이너메탈스의 피터 그랜트 선임 금속 전략가는 "금값 랠리가 이어질 여지가 충분하다"며 "중단기적으로 온스당 3,600~3,8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현재의 추세라면 내년 1분기에는 4,000달러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한편, 금과 함께 대표적 귀금속인 은 가격 역시 전장 대비 1.1% 상승한 온스당 41.34달러를 기록하며 동반 강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