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KIA 아니면 안 갔다?" 임기영, '굴욕 FA'… 15억에 '겨우' 잔류

 KIA 타이거즈의 좌완 투수 임기영에게 2023년은 악몽과도 같았다. 생애 최고의 시즌을 보낸 후 맞이한 FA 시즌,  야심찬 계획과 달리 부상과 부진이라는 늪에 빠지며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시즌 초반 옆구리 부상으로 이탈하며 페이스가 흔들렸고,  설상가상으로 새롭게 도입된 ABS(자동볼판정시스템) 또한 임기영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낮은 스트라이크존 공략을 선호하는 그의 투구 스타일상 높은 존 위주의 판정은 극복하기 힘든 과제였다.

 

결국 임기영은 37경기 6승 2패 2홀드 평균자책점 6.31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자신의 진가를 보여주지 못했다. 팀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지만,  임기영은 엔트리에서 제외되는 아픔을 겪으며 동료들의 기쁨을 함께 누리지 못했다.

 

"솔직히 한국시리즈 경기는 보지 않았습니다.  우승의 기쁨보다 엔트리 탈락의 분함과 아쉬움이 더 컸습니다. 내년에는 반드시 다른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지만, 부진한 성적 탓에 고민이 컸던 임기영은 결국 KIA 잔류를 선택했다. FA 계약 직전 심재학 단장과 면담을 통해  "KIA에 남아서 올해의 부진을 만회하고 싶다"는 뜻을 전달했고, 구단 역시 그의 진심을 받아들였다.

 

임기영은 3년 총액 15억 원에 KIA와 FA 계약을 체결하며 다시 한번 기회를 얻었다. 그는 "구단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내년에는 반드시 잘해야 한다"며  비장한 각오를 드러냈다.

 

이미 내년 시즌 준비에 돌입한 임기영은 1월 미국으로 건너가 개인 훈련을 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던 ABS 스트라이크존이  내년 시즌 하향 조정될 예정이라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올해 부진했던 모습은 잊고, 내년에는 팀의 한국시리즈 2연패에 힘을 보태겠습니다. 팬 여러분께 좋은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절치부심의 각오로 2024 시즌을 준비하는 임기영. 과연 그는 'FA 먹튀'라는 오명을 벗고 KIA 마운드의 핵심으로 다시 우뚝 설 수 있을까?

 

16승 0패 역대급 성적, 하지만 내년엔 못 본다?… '이 규정'이 폰세를 쫓아낸다

 한화 이글스의 '절대 에이스' 코디 폰세(31)를 둘러싼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KBO 리그 역사에 남을 만한 압도적인 시즌을 보내면서, 그의 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한화는 이제 '폰세를 지킬 수 있을까'라는 현실적인 고민에 직면했다. 문제는 돈이다. 그것도 구단의 의지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제도의 벽'이 너무나도 높다.폰세의 2025시즌 성적은 경이롭다는 말로도 부족하다. 25경기에 등판해 16승 무패, 평균자책점 1.66, 탈삼진 220개.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등 주요 투수 지표를 모조리 싹쓸이하며 리그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다. 일본 시절 내내 그를 괴롭혔던 내구성 문제마저 올 시즌 완벽하게 극복하며 자신의 가치를 최고점으로 끌어올렸다.이런 '괴물 투수'를 메이저리그가 가만히 둘 리 없다. 오타니 쇼헤이가 속한 LA 다저스를 포함한 수많은 빅리그 구단 스카우트들이 폰세가 등판하는 날이면 어김없이 구장을 찾고 있다. 지난해 20승을 거둔 에릭 페디가 KBO MVP 수상 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2년 1500만 달러(약 207억 원)에 계약한 선례를 볼 때, 페디를 능가하는 성적을 기록 중인 폰세는 그 이상의 대우를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하지만 한화는 발만 동동 구를 수밖에 없는 처지다. KBO의 '외국인 선수 샐러리캡' 규정이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규정상 3명의 외국인 선수에게 쓸 수 있는 돈은 총 400만 달러로 제한된다. 한화가 폰세에게 아무리 최고의 대우를 해주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금액은 최대 200만~25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200억 원이 넘는 돈을 부르는 시장의 평가와 구단이 줄 수 있는 30억 원 남짓의 금액. 애초에 '머니게임'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구조다. 팬들은 '얼마면 되겠니'라고 외치지만, 한화는 대답조차 할 수 없는 안타까운 상황. KBO 역대급 에이스의 한화 동행이 단 1년 만에 끝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