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KIA 아니면 안 갔다?" 임기영, '굴욕 FA'… 15억에 '겨우' 잔류

 KIA 타이거즈의 좌완 투수 임기영에게 2023년은 악몽과도 같았다. 생애 최고의 시즌을 보낸 후 맞이한 FA 시즌,  야심찬 계획과 달리 부상과 부진이라는 늪에 빠지며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시즌 초반 옆구리 부상으로 이탈하며 페이스가 흔들렸고,  설상가상으로 새롭게 도입된 ABS(자동볼판정시스템) 또한 임기영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낮은 스트라이크존 공략을 선호하는 그의 투구 스타일상 높은 존 위주의 판정은 극복하기 힘든 과제였다.

 

결국 임기영은 37경기 6승 2패 2홀드 평균자책점 6.31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자신의 진가를 보여주지 못했다. 팀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지만,  임기영은 엔트리에서 제외되는 아픔을 겪으며 동료들의 기쁨을 함께 누리지 못했다.

 

"솔직히 한국시리즈 경기는 보지 않았습니다.  우승의 기쁨보다 엔트리 탈락의 분함과 아쉬움이 더 컸습니다. 내년에는 반드시 다른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지만, 부진한 성적 탓에 고민이 컸던 임기영은 결국 KIA 잔류를 선택했다. FA 계약 직전 심재학 단장과 면담을 통해  "KIA에 남아서 올해의 부진을 만회하고 싶다"는 뜻을 전달했고, 구단 역시 그의 진심을 받아들였다.

 

임기영은 3년 총액 15억 원에 KIA와 FA 계약을 체결하며 다시 한번 기회를 얻었다. 그는 "구단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내년에는 반드시 잘해야 한다"며  비장한 각오를 드러냈다.

 

이미 내년 시즌 준비에 돌입한 임기영은 1월 미국으로 건너가 개인 훈련을 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던 ABS 스트라이크존이  내년 시즌 하향 조정될 예정이라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올해 부진했던 모습은 잊고, 내년에는 팀의 한국시리즈 2연패에 힘을 보태겠습니다. 팬 여러분께 좋은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절치부심의 각오로 2024 시즌을 준비하는 임기영. 과연 그는 'FA 먹튀'라는 오명을 벗고 KIA 마운드의 핵심으로 다시 우뚝 설 수 있을까?

 

나이 때문에 못 뛴다고?…'마지막 재계약' 도장 찍은 메시, 2026 월드컵 출전 사실상 확정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38·인터 마이애미)가 선수 경력의 마지막 페이지를 장식할 최종 계약서에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체 '마이애미 헤럴드'는 18일, 메시가 소속팀 인터 마이애미와 선수로서의 마지막 재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하며, 그의 빛나는 커리어가 마이애미의 분홍색 유니폼과 함께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12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수개월간 진행된 양측의 협상은 마침내 메시의 동행 결정으로 마침표를 찍었으며, 공식 발표는 10일 내로 이루어질 전망이다.메시는 단순한 선수 한 명 이상의 존재였다. 2023년 7월 합류 이후, 그는 75경기에 출전해 62골 30도움이라는 경이로운 공격 포인트를 쌓아 올리며 팀의 심장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 시즌에는 리그 최우수선수(MVP)에 등극했고, 38세의 나이가 무색하게 올 시즌 역시 21경기에서 20골 11도움을 기록하며 여전한 기량을 과시하고 있다. 그의 영향력은 경기장 밖에서 더욱 폭발적이었다. 메시 합류 전 연간 5,000만 달러 수준이었던 구단 수익은 그의 등장과 함께 2배 이상 급증했으며, 올 시즌에는 무려 3억 달러(약 4,166억 원)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시는 그야말로 인터 마이애미라는 구단의 가치와 규모를 송두리째 바꿔놓은 '걸어 다니는 기업' 그 자체였다.이번 재계약은 축구 팬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2026 북중미 월드컵 출전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청신호로 해석된다. 메시는 그동안 나이를 이유로 월드컵 출전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몸 상태가 완벽하지 않다면 월드컵에 나가지 않는 것이 낫다"라며 완전한 컨디션이 전제 조건임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MLS 무대를 압도하는 현재의 활약과 아르헨티나 대표팀 내에서의 굳건한 존재감을 고려할 때, 부상이라는 변수만 없다면 그의 대표팀 합류는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카타르 월드컵 우승의 영광을 함께했던 리오넬 스칼로니 감독 역시 '축구의 신'과 함께 또 한 번의 위대한 도전에 나설 것이 유력하다. 8번의 발롱도르 수상, 클럽 통산 40개의 우승 트로피 등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족적을 남긴 메시가 그의 커리어 황혼기에 마지막 월드컵 무대를 밟고 새로운 전설을 쓸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