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패션 베끼기에 유해물질까지?"… 쉬인, '논란'에 발목 잡혔다

 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이 한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쉬인은 2023년 6월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며 배우 김유정을 글로벌 앰버서더로 기용하고 SNS 마케팅을 강화했지만, 소비자 신뢰를 얻지 못했다.

 

쉬인의 애플리케이션 신규 설치 건수는 지그재그, 무신사 등 국내 경쟁 플랫폼보다 낮았으며, 초저가 전략과 품질 문제, 위조상품 판매 논란, 유해물질 검출 등의 이슈로 신뢰를 잃었다. 

 

특히 성수동 팝업스토어에서 K패션 브랜드와 해외 브랜드를 모방한 상품을 판매해 지적재산권 침해 논란을 일으켰다.

 

한국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뿐 아니라 높은 품질과 신뢰를 중시하는데, 쉬인은 이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여기에 알리바바 등 자국 내 경쟁 심화와 미국의 고관세 정책 가능성으로 글로벌 전략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국내 패션 업계는 소비자 니즈를 빠르게 반영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어 쉬인의 한국 시장 영향력은 더욱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16승 0패 역대급 성적, 하지만 내년엔 못 본다?… '이 규정'이 폰세를 쫓아낸다

 한화 이글스의 '절대 에이스' 코디 폰세(31)를 둘러싼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KBO 리그 역사에 남을 만한 압도적인 시즌을 보내면서, 그의 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한화는 이제 '폰세를 지킬 수 있을까'라는 현실적인 고민에 직면했다. 문제는 돈이다. 그것도 구단의 의지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제도의 벽'이 너무나도 높다.폰세의 2025시즌 성적은 경이롭다는 말로도 부족하다. 25경기에 등판해 16승 무패, 평균자책점 1.66, 탈삼진 220개.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등 주요 투수 지표를 모조리 싹쓸이하며 리그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다. 일본 시절 내내 그를 괴롭혔던 내구성 문제마저 올 시즌 완벽하게 극복하며 자신의 가치를 최고점으로 끌어올렸다.이런 '괴물 투수'를 메이저리그가 가만히 둘 리 없다. 오타니 쇼헤이가 속한 LA 다저스를 포함한 수많은 빅리그 구단 스카우트들이 폰세가 등판하는 날이면 어김없이 구장을 찾고 있다. 지난해 20승을 거둔 에릭 페디가 KBO MVP 수상 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2년 1500만 달러(약 207억 원)에 계약한 선례를 볼 때, 페디를 능가하는 성적을 기록 중인 폰세는 그 이상의 대우를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하지만 한화는 발만 동동 구를 수밖에 없는 처지다. KBO의 '외국인 선수 샐러리캡' 규정이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규정상 3명의 외국인 선수에게 쓸 수 있는 돈은 총 400만 달러로 제한된다. 한화가 폰세에게 아무리 최고의 대우를 해주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금액은 최대 200만~25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200억 원이 넘는 돈을 부르는 시장의 평가와 구단이 줄 수 있는 30억 원 남짓의 금액. 애초에 '머니게임'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구조다. 팬들은 '얼마면 되겠니'라고 외치지만, 한화는 대답조차 할 수 없는 안타까운 상황. KBO 역대급 에이스의 한화 동행이 단 1년 만에 끝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